국무부 “현재 대북 인도주의 직접 지원 계획 없어”

북한이 현재 극심한 식량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미국은 현재 정부 차원에서 북한에 대한 직접적인 인도주의 지원을 제공할 계획이 없다고 국무부가 밝혔습니다.

국무부 관계자는 24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데이비드 비슬리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WFP) 사무총장이 지난 9일 만나 이 기구의 대북 식량지원 사업을 논의한 이후 이에 대한 진전 사항이 있냐는 자유아시아방송(RFA) 문의에 이같이 답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은 북한 주민들의 안녕에 대해 깊이 우려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북한에 인도주의 지원을 제공하는 지원단체들에 대한 제재 및 여행금지 면제 승인 관련 미국의 정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국무부는 이어 “이는 제재의 엄격한 이행이 북한 주민들에게 적법한 (인도주의) 지원을 전달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보장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또 “미국과 유엔은 제재면제 신청과 대북 지원을 위한 승인 등을 면밀히 평가할 것이며, 인도주의 지원 단체들이 대북 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과 분배감시(monitoring)의 국제적 기준을 충족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은 23일 공개한 북한 국가보고서를 통해 현재 이 기구가 식량농업기구(FAO)와 공동으로 북한에서 진행하고 있는 식량안보 평가 결과가 4월 말이나 5월 초 나온다면서, 이번 조사 결과가 유엔 차원의 대북 식량지원 문제에 있어 향후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