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의 심각한 전력난 해결을 위해서는 북한 당국이 정치∙경제적 개방을 통해 외부 지원을 끌어들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미국의 민간 공공정책연구기관인 노틸러스연구소(Nautilus Institute)는 26일 '북한 에너지 안보의 토대 마련(Laying the foundations of DPRK energy security)'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보고서는, 북한은 노후된 시설과 비효율적인 배전으로 평양에서조차 정전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에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는 주민은 전체 인구의 26% 뿐.
보고서는 엄청난 자원과 시간을 들여 전국적인 에너지 체계를 재건하는 것보다 풍력이나 태양열 등 재생에너지, 그리고 석탄 및 기타 전력 생산자원을 결합한 소규모 발전시설로 비교적 좁은 지역에만 전기를 제공하는 '미세격자(microgrid)' 배전체계를 구축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결국 바람과 햇빛을 이용한 재생에너지 중심의 소규모 발전시설을 먼저 설치한 다음 그것들을 점차적으로 연결해 전력 공급지역을 넓혀 나가는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는 설명입니다.
하지만, 북한은 이러한 새로운 전력생산 방식에 대한 지식 및 기술이 없어 외부로부터의 지원이 필요한 데 북한의 정치적, 경제적 개방 없이는 에너지 재건에 아주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보고서는 덧붙였습니다.
미국의 북한경제 전문가인 한미경제연구소(KEI)의 트로이 스탠가론 선임국장은 27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자우편을 통해 "경제개발을 위해서는 사용 가능한 에너지를 크게 늘리고 기존 인프라, 즉 기반시설을 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또 "구식 시스템보다 현대적인 기술로 북한의 에너지 인프라를 재건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며 "북한의 무기 프로그램을 해체하기 위한 협상의 일환으로 북한에 추가 발전소를 지원함으로써 국제사회가 가질 수있는 우려를 해결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는 국제사회가 북한의 전기 에너지 확보를 지원해 북한이 핵개발 등 대량살상무기 개발을 포기하게 만들수도 있을 것이란 설명입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