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량 아껴라” 북, 배고픈 주민들에 ‘절약투쟁’ 강요

0:00 / 0:00

앵커: 북한이 나날이 어려워지고 있는 식량난 해결 방안으로 전사회적인 식량절약 투쟁을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주민들은 이보다 더 줄이면 아예 굶으라는 말이냐며 반발하고 있다고 현지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이명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평안북도의 한 주민소식통은 8일 “날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는 식량문제 해결방안으로 식량절약투쟁을 힘있게 벌릴 데 대한 선전선동사업을 강화하라는 중앙의 지시문이 5일 내려졌다”면서 “당 내부 교양망을 통해 식량낭비 현상을 없애기 위한 교양과 함께 정부기관과 사법기관들에서 사회적으로 식량낭비 현상과 관련한 검열을 진행할 데 대한 지시가 하달되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각급 당 조직 들에서는 강연자료를 비롯한 대중교양자료들에 식량절약과 관련한 내용을 집중적으로 편집하여 주민들을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진행하는 강연회와 결부시켜 진행하도록 조직하고 있다”면서 “식량을 낭비하는 자들은 나라의 식량사정을 더욱 긴장하게 만들고 체제를 위협하는 반역행위로 처벌한다며 겁을 주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이 같은 당국의 지시에 주민들은 ‘지금 우리에게 낭비할 식량이 어데 있냐’면서 당국의 지시에 어이가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면서 “당국에서 식량증산을 소리 높게 외쳐도 식량부족사태가 악화되자 그 책임을 인민에게 돌리려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이번 식량절약에 대한 중앙의 지시로 앞으로는 결혼식을 비롯한 관혼상제도 알곡으로 만든 음식은 잔치상에 올릴 수 없고 남새, 과일, 물고기 등으로 차려야 한다”면서 “손님들에게 국수 한 그릇도 대접할 수 없게 통제하는 것은 한 마디로 관혼상제도 생략하라는 얘기가 아니면 무엇이겠냐”고 반문했습니다.

소식통은 “특히 간부나 돈주 등 상류층의 식량 낭비현상에 대해서 당적으로 엄격히 대책 한다고 엄포를 놓고 있지만 과연 상류층의 식량낭비를 얼마나 철저히 단속할지 일반 주민들은 의구심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한 주민소식통은 8일 “이번 식량절약과 관련한 중앙의 지시로 명절날 모여서 술판, 먹자판을 벌리는 일은 불가능하게 되었다”면서 “인민군창건절(2.8)을 맞으며 달콤한 휴식과 명절 음식을 기대했던 수 많은 군인들의 실망이 이만저만이 아니었다”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특히 밀주(알곡을 사용하는)행위에 대해서는 알곡을 낭비하는 중범죄로 처벌하겠다며 경고하고 있어 지금까지 술을 뽑아서 팔아 생계를 유지해오던 주민들은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답답함을 토로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구체적인 처벌 내용과 관련해 엄중성 정도에 따라 노동교화형 1년에 처하고 밀주행위에 쓰인 알곡과 현물은 전량 몰수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소식통은 “중앙에서는 날이 갈수록 악화되고있는 식량난에 대한 국가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고 주민들에게 무조건 식량을 절약하라고 강요하고 있다”면서 “당중앙위 전체회의, 최고인민회의 등 그 수 많은 회의가 끝날 때마다 인민생활개선을 한다고 요란하게 선전하지만 결론은 주민들의 희생만을 강요하는 당국에 대한 주민들의 원성이 드높다” 고 주장했습니다.

기자 이명철, 에디터 오중석,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