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중 간에 임가공 물밑 거래(암거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업체들이 북한에 임가공을 맡기고 있는데 가장 큰 장애물은 유엔 대북제재가 아니라 비싼 물류비용이라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중관계에 훈풍이 불기 시작하면서 북한과 중국 간의 임가공 무역이 점차 활발해지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최근 중국 단둥의 한 무역 관계자는 “북-중간에 음성적인 임가공 무역이 눈에 띠게 늘어나면서 임가공용 원자재와 완성품을 실어 나르는 운반비 즉, 물류비용이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면서 “아직 유엔제재가 발효중이지만 중국인 대방들이 편법을 동원해서 북한에 임가공을 위탁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중국 대방 입장에서는 북한공장의 임가공 비용보다 오히려 물건을 실어 나르는 운송비가 더 부담이 되고 있다”면서 무게가 10kg, 또는 부피로는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0.5m 크기인 짐 하나를 단둥에서 신의주로 보낼 때는 250위안, 신의주에서 완성품을 만들어 단둥으로 가져 올 때는 350위안의 비용이 든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요즘 행해지는 임가공 위탁은 모두 대북제재를 위반하는 불법거래이기 때문에 원자재와 완성품은 주로 밀무역 형태로 주고 받는다”면서 “신의주로 원자재를 들여갈 때 보다 신의주에서 단둥으로 완성품을 가지고 나올 때 중국 변방에 단속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운송비에 차이가 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결국 원자재와 완성품을 주고 받는데 화물 10kg 당 물류비만 600위안이 드는 셈”이라면서 “어지간히 수익을 많이 내지 않고서는 높은 물류비를 감당하기가 쉽지 않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단둥의 또 다른 소식통은 “북-중간에 이루어지는 음성적인 임가공 무역은 중국당국 입장에서는 불법 무역으로 단속 대상이지만 조선에서는 당연한 무역 거래로 인정해주고 있다”면서 “소형 선박을 이용해 밀수 형태로 물건을 주고 받는데 북한측에서는 군대까지 나서서 임가공품 물류를 도와주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현재 북한 무역 주재원들과 중국 업체들 간에는 비공식 임가공에 관한 상담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지만 지나치게 높은 물류비 탓에 계약이 성사되려면 좀 더 시간이 필요한 것 같다”고 언급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