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최근 암호화폐 가격 하락에도 불구하고 북한은 암호화폐 관련 사이버 공격을 지속할 것이라는 전문가의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이 25일 발표한 ‘북한의 암호화폐 공격과 미국의 대응’ 보고서.
보고서를 작성한 김보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부연구위원은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은 사이버 공격을 더욱 대담하게 전개하고 있고 특히 경제제재를 우회하고 핵∙미사일 개발을 지탱하기 위해 암호화폐 공격을 통한 외화 확보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또 최근 암호화폐 가격 하락과 현금화 문제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공격을 계속하고 있다는 점은 흥미롭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암호화폐 공격의 저비용성, 익명성, 높은 수익성 등은 북한에게 확실한 장점이라며 국제사회의 고강도 제재로 외화확보 수단이 부족한 북한으로서는 가치 하락에도 암호화폐 해킹에 주력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암호화폐 공격과 피해 규모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지만 북한은 암호화폐를 현금화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대량의 암호화폐를 현금화할 수 있는 거래소가 많지 않고 해킹 피해 방지를 위해 주요 국가들이 감시와 제재를 강화하면서 자금세탁 방지 규정을 강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김보미 부연구위원은 북한이 미처 현금화하지 못한 암호화폐들이 있는 상태에서 암호화폐 가격이 급격히 하락하면서 북한이 벌어들일 수 있는 불법적 외화수입 역시 감소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다만 한국 정부는 북한의 사이버 공격으로 인한 피해 규모에 비해 미국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며 미국 등 국제사회와 협력해 이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국제공조의 구체적 실현 방안으로는 북한의 사이버 위협 관련 보고서 발간을 통해 북한의 암호화폐 공격 기법, 성공적 대응 사례, 기술적 대응 방안 등을 공유하는 것을 제안했습니다.
이에 더해 한국 정부가 대북 독자제재 또는 북한 사이버 공격으로 피해를 입은 국가들과 함께 공동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한국 외교부는 북한이 중대한 도발을 감행할 경우 사이버 분야 제재 부과를 검토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임수석 한국 외교부 대변인 ( 지난 22 일 기자설명회 ): 우리 정부는 북한이 7차 핵실험 등 중대한 도발을 감행할 경우 전례 없이 강력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 하에 북한의 사이버 활동 관여 인사에 대한 제재 대상 지정 그리고 사이버 분야 제재 조치 부과 등도 검토할 예정입니다.
앞서 정 박 국무부 대북특별부대표와 김건 한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지난 17일 서울에서 열린 ‘북한 암호화폐 탈취 대응 한미 공동 민관 심포지엄(토론회)’에서 북한의 불법 사이버 활동을 근절하기 위해 국제사회가 단합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습니다.
김건 본부장은 이 자리에서 북한이 지난 3월 블록체인 비디오 게임 ‘액시 인피니티’를 상대로 해킹을 감행해 6억2천만 달러 상당의 암호화폐를 탈취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기자 이정은,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