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가을 추수를 앞둔 북한에서 농작물 절도와 부정유출 사건이 급증하고 있다고 현지소식통들이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이명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의 한 간부 소식통은 3일 “가을 수확철을 맞으며 농작물 침해(농작물 절도, 부정 유출) 행위가 늘어나는 것과 관련해 1일 중앙의 지시가 내려졌다”면서 “농업, 사법 당국 등 해당 기관들은 가을을 앞둔 농작물을 지키라는 중앙의 지시 집행을 위해 회의를 열고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해마다 가을이 다가오면 농장에서 채 수확하지 않은 농작물 도난 사건이 발생하고 있지만 올해에는 예년에 비해 도난 건수가 배 이상 늘어났다”면서 “함경북도에서만 지난해에 비해 9월 한 달 동안 농작물 침해 신고 건수가 도내 지역별로 차이는 있으나 100 여건이 넘게 제기되고 있어 가뜩이나 농업 생산 할당량을 채우기에 급급한 협동농장들을 곤경에 몰아넣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올해에도 예년과 마찬가지로 8월말 부터 농작물 보호를 위해 농장원들로 경비조를 무어 농작물을 지키고 있지만 식량난 속에서 필사적으로 농작물을 훔쳐내는 주민들을 막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면서 “올해는 극심한 식량난 때문인지 농작물을 지키는 경비조들도 서로 짜고 농작물을 훔치는 경우가 비일비재 하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당국에서 군량미로 지정한 포전(논밭)에 대해서는 군인들이 경비를 서고 있지만 군량미로 지정된 포전에서도 농작물 절도와 유출(부정하게 빼돌리는 행위) 사건이 일어나고 있다”면서 “군량미로 지정된 일부 포전에서는 이미 가을(추수)을 시작했는데 가을한 다음 농장에 쌓아놓은 농작물을 침해하는(부정하게 빼돌리는) 행위도 자주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와 관련해 해당 기관들은 농작물침해를 막고 가을걷이와 탈곡, 수매를 제때에 끝낼 데 대한 중앙의 방침을 관철하기 위해 대책을 세웠는데 대책이라는 게 주민 결의대회를 조직하는 것”이라면서 “모든 당원과 근로단체조직들이 조직별 총회를 열고 당의 방침과 지시를 철저히 집행하기 위해 법적통제를 강화하겠다는 결의와 서명을 진행하라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결의대회와 사법기관들의 법적 통제 강화 방침이 농작물 침해 행위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면서 “만성적인 식량부족에다 올해는 자연 재해로 농사 작황까지 좋지 않은 상황에서 배고픈 농민들이 농작물을 빼돌리고 있는데 결의대회나 서명이 무슨 효과가 있겠냐”고 반문했습니다.
이와 관련 평안북도의 한 주민소식통은 같은 날 “사법기관들에서 공장 기업소 종업원들과 농민, 주민들을 모아 놓고 낟알(농작물) 침해와 관련한 집중강연회를 조직하고 있다”면서 “기관 기업소 책임자들과 인민반장들은 농작물 침해행위에 관한 주민회의에 한사람도 빠짐없이 참여할 것을 강요하고 있어 생계활동에 바쁜 주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당국에서는 사법기관들에 농작물침해행위을 범한 대상자들을 구체적으로 장악하여 지역 당 조직 간부들이 그들에 대한 교양사업을 강화하도록 지시했다”면서 “교양사업 이후에도 뉘우치지 않고 또다시 낟알(알곡)을 침해할 경우에는 노동단련대, 교화형 등 법적으로 엄격한 처벌을 내리도록 지시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식량이 바닥나 배고픈 주민들이 오죽하면 위험을 무릅쓰고 채 여물지 않은 낟알을 농장 포전에 들어가 훔치겠냐”며 “민생은 외면한 채 무기 개발에만 힘을 쏟고 있는 당국에 대한 주민들의 원망이 높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자 이명철,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