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이 지난 2월 16일 광명성절(김정일 생일)에 주민들에게 명절용 식량을 배급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오랜만에 배급을 받은 주민들은 치솟는 식량값을 잡으려는 당국의 임시방편에 불과하다며 평가절하하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20일 양강도의 한 소식통은 “이번 2.16을 맞아 오랜만에 주민들에게 식량을 배급했다”면서 “비록 배급된 식량의 양은 보잘것없지만 1990년대 중반 배급제도가 사라진 후 전국적인 규모로 일시에 배급한 것은 나름 의미가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중앙의 지시에 따라 각 기관들에서 자체로 식량을 마련해 세대별 인원수에 맞춰 이틀분의 식량을 배급했다”면서 “세대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기관과 기업소에 소속된 4인가족의 경우 3kg 정도의 식량을 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원래의 배급제도에 따르면 해당 기관에서 소속 근로자의 출근일수를 따져 발행한 배급표로 식량을 배급했었다”며 “하지만 90년대 초부터 미공급이 지속되고 배급이 수개월에서 1년 이상 밀리다가 90년대 중반에 완전히 사라졌다”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 “당시 국가경제가 파탄에 이르자 당국이 더는 배급제를 유지할 수 없었다”면서 “새로운 대안으로 각 단위들에서 자체로 일거리와 자금을 마련해 생산을 하고 종업원의 식량을 마련해 배급해주는 8.3독립채산제라는 게 생겨났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주민들조차 거의 포기해버린 국가단위의 배급이 이번 명절을 계기로 등장한 것을 두고 주민들은 당국이 뭔가 속셈이 있어 배급을 준 것이라고 의심하고 있다”며 “중국의 대북제재 강화로 식량가격이 급격하게 오르자 기관별로 식량배급을 지시해 주민들의 원성을 무마해 보려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같은 날 “이번 명절에 어쩌다 식량배급을 주었으나 이를 계기로 주민들이 오히려 당국에 대한 불만을 내보이고 있다”면서 “군량미니 지원식량이니 하며 온갖 구실로 식량을 뺏어가더니 갑자기 웬 생색이냐며 당국의 저의를 의심하고 있다” 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지난 1월까지만 해도 장마당의 식량가격은 입쌀 kg당 4천 원대였다”면서 “하지만 큰 명절(광명성절)이 있는 이달 들어 갑자기 5천500원까지 가파르게 올라 앞으로 식량가격이 얼마나 더 오를지 주민들이 크게 불안해 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오랜만에 식량을 배급해줬지만 시장의 식량가격은 내릴 낌새가 없다”면서 “사법기관과 군부대에도 배급을 제대로 보장하지 못하면서 단지 이틀 분의 식량배급으로 주민들의 불만을 잠재울 수 있겠냐”고 반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