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장관 “대북 인도지원 지속돼야”

0:00 / 0:00

앵커 : 이인영 한국 통일부 장관은 북한의 지속적인 미사일 발사로 한반도 긴장이 고조됐지만 대북 인도적 지원은 지속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이인영 한국 통일부 장관은 16일 북한의 지속적인 미사일 발사로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이 날로 고조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날 ‘대북 인도협력 민간단체 전체회의’에 참석한 이인영 장관은 개회사에서 이같이 말하며 북한의 긴장고조 행위는 한반도 그리고 역내 평화와 안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

다만 코로나19, 즉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등으로 북한 내 취약계층을 위한 인도주의 협력 수요가 증가했다며 인도주의의 시간만큼은 멈추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인도적 분야에서 남북교류와 협력이 활성화되도록 재정적, 제도적 지원 확충을 지속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은 한국의 인도협력 시도에 반응하지 않는 모습입니다. 앞서 한국 통일부는 지난 7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코로나19 등으로 세계식량계획(WFP)의 ‘북한 영유아·여성 지원사업’ 등 유엔기구를 통해 추진한 대북지원 사업 3건이 모두 지연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 한국 정부는 기존 기조와 일관된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한국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외신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현재 스위스 제네바에서 진행 중인 제49차 유엔 인권이사회에 제출될 북한인권결의안 관련 이를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이 결의안의 공동제안국으로 참여할 가능성에 대해선 한반도 정세, 결의안 내용 등 제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입장을 결정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지난 2019년부터 유엔 인권이사회 북한인권결의안의 공동제안국으로 이름을 올리지 않고 합의 채택에만 동참해왔습니다.

중국 내 탈북민 문제에 대해 이 당국자는 이는 한국 정부가 관심을 갖고 있는 중요한 과제 중 하나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한국 외교부는 중국 내 탈북민들이 인도주의 원칙에 따라 강제북송되지 않고 희망하는 곳으로 안전하고 신속히 이송될 수 있도록 외교적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내 구금된 탈북민의 수 등 한국 외교부가 파악하고 있는 관련 현황을 묻는 질의에는 탈북민의 신변 안전과 해당 국가와의 외교 관계 등을 고려해 이를 공개할 수 없다고 답했습니다.

앞서 유엔 특별보고관들은 지난해 8월에 이어 지난 1월 중국에 구금된 것으로 알려진 탈북민 관련 정보를 제공할 것을 중국에 재차 요청한 바 있습니다.

토마스 오헤아 퀸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지난달 방한 중 한국 정부 관계자들과의 면담에서 유엔 북한인권결의안 공동제안국에 한국이 불참하는 것은 북한 당국에 잘못된 메세지를 줄 수 있음을 재차 강조하는 한편 중국 내 탈북민 문제 관련 한국 정부가 ‘조용한 외교’ 이상의 조치를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이들을 보호할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습니다.

기자 이정은,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