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국무부가 다음 주 미국의 대북지원단체와 인도적 지원 관련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익명을 요구한 미국의 한 대북지원단체 관계자는 1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내주 미 국무부 관계자들과 인도적 지원과 관련한 비공개 회의를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특히 최근 정 박 미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부차관보가 현재 미국이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한 면제를 용이하게 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는 발언이 나온 후 열리는 회의라 결과가 주목됩니다.
지난 5일 미국 국방부 산하 전쟁포로·실종자확인국(DPAA)이 개최한 연례 설명회에 참석한 정 박 부차관보의 설명입니다.
정 박 부차관보: 우리는 북한 인도주의 상황을 주시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또 인도적 지원이 북한에 전달되도록 하는 면제 요청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정 박 부차관보는 그러면서 이는 아직 진행 중인 논의로 북한이 미국의 대화 제안과 국제사회의 인도적 지원 제공에 긍정적으로 답하길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국무부 대변인은 1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미국은 계속해서 미국과 국제 구호 및 보건 기구의 적법한 대북 지원 승인을 신속하게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The United States continues to expeditiously facilitate the approval of legitimate assistance from U.S. and international aid and health organizations to the DPRK.)
국무부는 그 동안 북한 정권과 별개로 북한 주민들의 인도적 상황 개선을 위해 인권을 중심으로 한 대북외교를 펴겠다고 여러 차례 강조해 왔습니다.
미 국무부는 지난해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에서 대북 인도주의적 지원에 대한 제재 면제 절차를 간소화하는 내용을 담은 안내서 개정안의 채택을 주도하기도 했습니다.
이달초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린 한미 국장급 회의에서도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와 관련해 미국의 비영리단체 북한인권위원회(HRNK)의 그렉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13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통화에서 미 정부가 북한의 인도주의 상황에 대해 우려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통해 인권을 중심으로 한 대북정책을 펴길 바란다고 전했습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 저는 국무부가 북한 인권과 인도주의에 대해 크게 우려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이 대북 인도주의 지원을 통해 '인권 우선 접근(Human right upfront approach)'을 하길 희망합니다.
스칼라튜 사무총장은 다만 미국, 한국을 통한 대북 인도주의 지원 시 반드시 북한 내 취약계층에 지원물품이 전달될 수 있도록 분배에 대한 투명성을 보장하고, 국제기구의 기준에 맞춰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기자 김소영, 홍알벗 에디터 박봉현, 웹팀 김상일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