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미국의 일부 대북지원 단체들은 미국 정부의 미국인 북한 여행 금지 조치로 지원 단체 봉사자들의 방북이 어려워졌다며 우려를 나타냈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의 대북 교류 민간단체인 ‘전미북한위원회(NCNK)’의 키스 루스 사무총장은 11일 성명을 통해 “북한에 대한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최대한의 압박이 북한 주민들에 대한 미국의 인도주의적 지원을 끝낼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Maximum Pressure could end US humanitarian assistance to North Koreans.)
그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적극적인 대화와 외교에 나서는 점은 환영하지만 한편으론 이 행정부가 지난 수십년간 이어져온 미국 시민단체, 비영리단체들의 대북지원을 막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루스 사무총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압박정책이 인도주의적 대북 지원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습니다.
최근 미국 국무부가 인도주의 지원을 이유로 북한을 여행하려는 봉사자들의 여권 신청을 거절하는가 하면 올해 초 세계기금(Global Fund)이 북한 의료 지원을 중단한 것 역시 미국의 대북압박 정책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루스 총장은 주장했습니다.
매년 봄, 가을 두 차례 북한을 방문해 농업 생산 기술 등을 보급해온 미국친우봉사단(American Friends Service Committee) 역시 지난달 중순 북한 방문 여권을 신청했다 거절당했습니다.
특히 과거에 이미 두 차례 북한 방문 승인을 받았던 단체 관계자의 방북 신청이 거절되면서 11월 예정된 북한 방문 계획에도 차질을 빚게 됐습니다.
이 단체 워싱턴 사무소에서 아시아 지역을 담당하는 다니엘 야스퍼 씨는 북한에 대한 지원이 그 어느때보다도 중요하다며 곧 상황이 변하길 바란다고 최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말했습니다.
야스퍼 씨 : 우리는 계속해서 우리의 일을 할 겁니다. 지금 어느때보다도 이 일을 계속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년 봄 봉사단을 북한에 보낼 때에는 상황이 변해있길 바랍니다. (We hope to continue to do work. I think now more than ever it's important that we carry on this. We hope the situation be reversed when time comes for us to apply for spring delegation.)
대북지원 단체들에 따르면 국무부는 여권 발급 거절 이유에 대해 “북한 방문에 대한 특별 면제는 ‘미국의 국익’에 따라 결정된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습니다. (Special exemptions could be made in the U.S. national interest.)
한편 2007년 이래 의료 교류 차원에서 북한을 18차례 방문한 키 박(Kee Park) 미국 하버드대학 의대 교수 역시 지난 8월 북한 방문을 위한 특별 여권 발급이 거절된 데 대해 "대북압박 정책에서 인도적 지원을 면제하겠다는 미국 정부의 의도와 일치하지 않는다"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