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 무역회사들이 일정 규모 이상의 수입대금을 지출하려면 김정은 위원장의 직접 결재를 얻어야 필요한 물품을 수입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습니다.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대북제재로 외화사정이 좋지 않은 북한당국이 무역회사들의 수입대금 지출을 엄격히 통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중국 단둥의 한 대북 무역업자는 “외화난을 겪고 있는 북조선의 무역주재원들에게 요즘 또 다른 어려움이 추가되었다”면서 “그러지 않아도 외상거래를 고집하는 평양 본사의 방침으로 중국 대방과 거래하는데 곤란을 겪고 있는데 본국으로부터의 무역대금 지출이 전보다 더 늦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최근 평양의 본사에서는 미화 5,000달러 이상의 자금을 지출하려면 김정은 위원장의 직접 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무역대금 지출이 늦어질 수밖에 없다고 통보해왔다”고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김정은 위원장으로부터 결재를 득하고 집행되는 자금을 북조선 무역 주재원들은 ‘방침자금’이라고 부르고 있다”면서 “이는 북조선 최고지도자의 모든 지시사항에 ‘000방침’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데서 연유된 것 같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북조선의 무역총회사 간부들은 이 방침 자금 결재를 받아내는 일에 나서기를 꺼리기 때문에 수입대금 지출이 늦어질 수밖에 없다”면서 “이런 와중에서 가장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은 현장에서 (중국)대방과 무역거래를 담당하는 무역 주재원들”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 중국 변경도시의 한 무역관련 소식통은 “1만 달러도 안 되는 무역거래 자금을 최고지도자가 직접 결재한다는 얘기는 북조선의 외화사정이 얼마나 안 좋은가를 대변해주는 현상으로 해석된다”면서 “또 다른 의미에서 보면 무역자금 집행을 맡고 있는 실무진들을 최고위층에서 믿지 못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고 풀이했습니다.
소식통은 “북조선 무역회사들의 수입대금 지출이 한층 더 까다로워졌다는 사실이 중국 무역 업자들에게 알려지면 북조선이 당장 필요한 물품을 수입하는데 큰 지장을 초래할 것은 뻔하다”면서 “대북제재가 지속되면서 외상 위주로 물품을 보내(수출)주던 많은 중국회사들이 요즘에는 외상거래를 거부하는 경우가 늘고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북조선에서는 당장 급한 기계류와 건설장비 및 자재들은 밀무역을 통해 들여가는데 모두 현금거래를 위주로 하고 있다”면서 “최고지도자의 결재를 받은 후에 무역대금을 지출해야 한다면 중-조간 강무역(밀무역)에도 상당한 차질이 빚어지게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