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정부가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을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개성공단기업협회는 방북 시 재고품 파악과 시설 점검을 먼저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모임인 개성공단기업협회는 이번에 개성공단 방문이 이뤄지면 공단 내 유동, 고정 자산의 파악을 가장 먼저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방북단이 소규모로 꾸려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면밀한 재고 파악과 시설 점검은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현재 개성공단에 입주한 생산·제조 업체 123개와 영업 기업 등 1개 기업마다 1명의 방북이 예상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신한용 개성공단기업협회 회장은 24일 자유아시아방송에 “개성공단 내 재고품들이 외부로 반출되고 있는지 여부가 주요 확인 사항 중 하나”라고 말했습니다.
신한용 개성공단기업협회 회장 : (만약 방북이 이뤄지면) 유동, 고정 자산이 그대로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기계 작동 여부는 전기가 공급되지 않아 점검할 수 없습니다. (개성공단 재고품이 반출된다는) 얘기가 사실인지부터 확인해야 하는 거죠.
개성공단기업협회 관계자는 “이번 방북은 공단을 훑어보는 수준이 될 것”이라며 “기업당 한 명정도의 방북이 예상되는데 혼자서 재고품 파악은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자유아시아방송은 지난 8월 북한이 개성공단 내 기업이 생산한 전기밥솥을 밀수를 통해 중국에 판매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소규모의 방북단이 꾸려지면 공단 내 시설, 기계 점검도 제대로 이뤄질 수 없다는 것이 개성공단기업협회의 입장입니다.
개성공단기업협회 관계자는 “1사 1인 기준으로 방북하면 회사 책임자가 방북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기계, 설비 전문가는 방북하지 못한다”며 “본격적인 시설 점검이 하루에 끝나는 일도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신한용 회장은 “이번 방북이 이뤄진다면 시발적인 의미로, 상징적인 기회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이번에 추진되고 있는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저촉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개성공단 재가동이 아닌 기업인들의 재산권 보호와 재산 점검 차원의 방북이라는 겁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24일 정례 기자설명회에서 “개성공단 재가동은 대북제재가 완화되지 않는 이상 있을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통일부도 이번에 추진되는 방북은 개성공단 기업들의 자산 점검 차원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현재 한국 정부는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 일정을 북한과 협의 중입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 :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 추진은 개성공단 재가동과는 무관합니다. 기업들의 거듭된 요청을 고려했고 또한 기업의 재산권 보호 차원의 자산 점검을 위한 것임을 말씀드립니다.
통일부 당국자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방북 일정이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기업인들의 방북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북한과 협의 중”이라고 말했습니다. 남북은 오는 31일부터 사흘간 당일 일정으로 기업인들을 나눠 방북시키는 방안을 최종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업인들의 방북에 대한 통일부의 긍정적인 검토 입장은 개성공단기업협회가 지난 7월 방북 신청을 한 뒤 뒤늦게 나온 것입니다.
그동안 통일부는 문재인 정부 들어 모두 세차례에 걸쳐 기업인들의 방북 승인을 유보한 바 있습니다. 통일부는 기업인들의 방북 신청에 대한 승인을 유보하다가 이같은 입장을 내놓은 이유에 대해 3차 남북정상회담, 기업인들의 지속된 방북 요청 등을 고려했다고 밝혔습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국정감사를 통해서도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방북과 관련한 문의가 있었고 조명균 통일부 장관도 남북이 이를 협의 중이라고 말한 바 있다”며 “이런 연장선상에서 기업인들의 방북 추진을 보면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