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공식시장 갯수 증가 미미…전체 면적은 확장”

0:00 / 0:00

앵커 :지난 5년여간 북한 당국이 운영하는 북한 내 공식시장의 갯수는 크게 달라지지 않은 반면 전체 면적은 확장됐다는 분석이 한국 내에서 제기됐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23일 한국의 통일연구원이 주최한 ‘2022 공식시장 조사 결과’ 월례토론회.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이날 토론회에서 인공위성 사진, 현지 통신원 제보, 탈북민 조사 등을 기반으로 북한 내 공식시장, 즉 북한 당국의 허가 아래 운영되고 시장관리소가 있어 장세 등 다양한 징수가 이루어지는 시장의 운영 현황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르면 북한 내 공식시장은 이번달 기준 총 414개로 집계됐습니다. 지난 2017년 이후 새로 생긴 시장은 총 11개, 폐쇄된 시장은 총 8개로 현재까지 공식시장 수는 총 3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북한 내 공식시장의 총 면적은 지난 2016년 대비 약 107.6㎡ 증가한 약 1.9㎢인 것으로 추산됐습니다.

홍민 실장은 지난 5년여간 공식시장의 양적 증가는 미미했지만 규모 확장은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됐다고 평가했습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 : 전체적으로 시장 수는 순증가는 3개에 불과하지만 규모 확장은 상당히 활발하게 진행됐다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서 각 시장의 규모 확대를 통해 늘어난 인구 수가 소화됐을 가능성, 공식적인 종합시장 이외의 상품 소비와 유통 방식이 다양화됨에 따라 시장 수 증가 압박을 완충했을 가능성 등이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이에 더해 코로나 사태로 시장 활동을 제약하는 조치들이 다수 시행돼 시장의 양적 증가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 : 코로나 국면이 되면서 시장 활동을 제약하는 조치들이 많이 있었고 일정 부분 시장 활동을 허용하는 시기에도 매대를 칸 띄워서 하는 방식이고 시간도 굉장히 대폭 줄이는 방식으로 축소 운용을 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차문석 국립통일교육원 교수는 이날 행사에서 코로나 사태로 공식시장의 운영 방식이 변경됨에 따라 북한 당국이 상인들을 대상으로 거둬들이는 시장 사용료인 장세의 징수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6월 들어 평양 등 일부 지역에서는 통제가 다소 완화됐지만 북중 국경 부근에 위치한 도시들의 공식시장은 개장이 허용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습니다.

차문석 국립통일교육원 교수 :북중 국경지역에 있는 도시들의 공식시장은 개장이 허용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입니다. 양강도 지역 같은 경우에는 정기적으로 개장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또 북한 당국은 지난해 1월 제8차 당대회 이후 장세 확대를 시도했지만 극심한 경제난과 주민들의 생활고로 이를 시행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당국이 코로나 시기 종합시장의 매대 간격 조정으로 인한 장세의 손실분을 보전하기 위해 장세를 인상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차문석 국립통일교육원 교수 :격일제로 나와서 장사를 하게 되기 때문에 결국 장세가 절반 정도 걷힐 수 밖에 없죠. 그렇기 때문에 당국 입장에서는 장세의 손실분을 보전하기 위해 장세를 올릴 수밖에 없는 겁니다.

앞서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지난해 4월 북한 내부 소식통을 인용해 북한 당국이 코로나 방역 조치의 일환으로 장마당 매대 자리를 재배치하거나 격일제로 운영하도록 조치해 북한 주민들의 원성을 샀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기자 이정은,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