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감염증 확산을 막기 위해 북한과의 방역 협력이 필요하다며 현재 북한의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서재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로 인한 감염증, 이른바 우한 폐렴의 유입을 막기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는 북한.
한국 통일부는 북한 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발생했을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개성 남북연락사무소 운영을 잠정 중단하면서 신설한 서울·평양 간 전화선이 정상 작동하고 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방역 협력 등 북한과 현안을 논의한 적은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통일부는 아울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을 막기 위해 북한과의 방역 협력이 필요하다는 것이 한국 정부의 기본 입장이라고 재확인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북한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이달 예정된 주요 정치 행사들을 진행하기는 어렵다고 보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이 오는 8일 건군절과 16일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 등 기념행사를 앞두고 있지만 이번 전염병 사태로 인해 대규모 행사가 축소되거나 생략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국 정치권에서는 보건의료 체계가 취약한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와 관련해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적 의료 지원을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해식 더불어민주당 대변인 : 북한의 취약한 보건 의료 체계를 고려할 때, 열감지 카메라와 감염증 진단키트, 손 소독제, 마스크. 등 국경 지역과 의료 현장에 물자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짐작됩니다. 음압병실 등의 시설도 미비할 것이므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 발생이 확인된다면 시설 지원 필요성도 있을 겁니다.
이해식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그러면서 대북제재와 관련해 국제사회와 사전에 충분한 논의를 거쳐 지원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국 국가정보원 산하 국가안보전략연구원도 지난 5일 ‘감염병 확산과 남북협력’ 보고서에서 북한에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진자가 발생할 경우 외부로부터의 의료 장비와 물품 지원이 절실해질 것이라며 북한과 협력해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한국 내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확진자는 6일 오전 9시 기준 모두 23명으로 확인됐습니다.
정은경 한국 질병관리본부장 : 2월 6일 9시 기준으로 총 885명의 조사 대상 유증상자에 대해 진단검사를 시행하였습니다. 현재까지 총 23명이 확진되었으며, 693명이 검사 음성으로 격리 해제되고, 169명은 검사가 진행 중에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이와 관련해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일일상황점검회의를 열고 현재의 방역관리체계를 강화하고 특히 지방자치단체의 방역대응체계를 한층 더 강화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