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주민 80% 이상 코로나 백신 제공돼야 지원 수용할 것”

0:00 / 0:00

앵커 :북한 주민의 80% 이상에 해당하는 코로나 백신이 제공되어야 북한 당국이 국제사회의 백신 지원을 받아들일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서울에서 서재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신영전 한양대 의대 교수는 28일 북한이 현재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북제재와 코로나19 사태, 이로 인한 국경 봉쇄로 식량 부족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신영전 교수는 이날 아시아·태평양 핵비확산군축 리더십 네트워크(APLN)가 주최한 온라인 토론회에서 세계보건기구(WHO)의 주간 상황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해 9월부터 주마다 1400~1500건의 코로나 검사를 실시하고 있고, 최근에는 주당 백명 전후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SARS 환자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신영전 한양대 의대 교수 :저는 개인적으로 북한이 현재 코로나 환자가 없다고 발표하고 있지만 이 SARS 환자 케이스의 수가 아마 실제 북한 내 코로나 환자 수와 유사할 것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신 교수는 이와 함께 최근 북한이 중국산 신형 코로나 백신인 시노백 지원을 거부한 것에 대해선 북한 인구의 80% 이상, 다시 말해 2천만명 이상에 해당하는 백신이 제공되어야 백신을 통한 코로나 관리 체계에 진입할 수 있는 상황에서 소량의 시노백 지원은 별 의미가 없다고 북한 당국이 판단했을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지난 1일 유엔아동기금(UNICEF·유니세프)에 따르면 북한 보건성은 신형 코로나 백신 공동 구매, 배분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가 북한에 배정한 시노백 297만 회분을 다른 국가에 배정해도 된다는 뜻을 밝힌 바 있습니다.

신 교수는 이어 ‘동북아 방역·보건협력체’에 북한을 참여시키긴 위해선 북한이 원하는 수준의 코로나 백신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했습니다.

신영전 한양대 의대 교수 :특별히 북한이 참여하기 위해서는 저는 개인적으로 한 2천만명 이상 되는 사람에 백신을 제공하거나 단계적으로라도 제공할 계획을 제시해야 되는데 그런 안까지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겁니다.

지난해 12월 한국 정부 주도로 출범한 ‘동북아 방역·보건협력체’는 코로나19를 비롯한 신형 감염병 등 초국경적 보건안보 이슈 관련 역내 국가 간 공동 대응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지역 협력체 입니다.

박상민 서울대 의대 통일의학센터 부소장은 이 자리에서 지난 2000년부터 2019년까지 대북 인도적 지원을 실시한 공여국들의 현황을 종합해보면 미국이 전체 지원의 약 20퍼센트를 차지할 만큼 압도적으로 비중이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박상민 서울대 의대 통일의학센터 부소장 :인도적 지원에 측면에서 대규모로 특히 코로나와 관련된 대응으로 북한에 지원을 할 때에는 미국의 결정이 중요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앞서 미국 국무부는 지난 10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미국 정부는 가장 도움이 필요한 북한 주민들에게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에 참여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기자 서재덕, 에디터 양성원, 웹팀 최병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