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WFP)의 대북 식량지원 사업에 대한 국제사회의 모금액이 남북대화와 미북대화가 이어진 최근 두 달새 50% 가량 증가했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세계식량계획의 대북 지원사업 모금 현황자료를 보면 지난 19일까지 모금된 액수는 약 1천 513만 6천 달러로 올 연말까지 진행하는 북한 주민에 대한 영양지원 사업을 위해 필요한 예산인 약 5천240만 달러에 여전히 크게 못미칩니다.
하지만 4월 말에 열린 남북 정상회담 직전 상황과 비교하면 523만 달러 정도가 증가했습니다.
프랑스 정부가 세계식량계획이 북한에서 진행 중인 지원 사업에 올 4월 미화 약 194만 달러를 기부했습니다.
프랑스의 세계식량계획에 대한 지원은 지난해 4월 사상 처음으로10만 달러를 기부한 이후 1년 만입니다.
캐나다 정부도 4월 이후 미화 약 115만 달러를 기부하며 세계식량계획의 북한 지원 사업에 힘을 보탰습니다.
이밖에 세계식량계획의 내부 예산 약 390만 달러까지 최근 두 달 사이 더해지면서 지난 4월 초까지 1천 만 달러에 약간 못미치던 대북 지원사업의 자금이 6월 중순 이후 약 1천514만 달러로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세계식량계획은 이 액수가 북한에서 연말까지 식량지원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총예산 5천 239만 2천618달러의 29% 수준이라며 자금 부족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 기구가 가장 최근 공개한 북한사업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재해 예방 사업(disaster risk reduction project)'을 위한 모금이 전무해 가을을 대비한 계획을 세우지 못하고 있습니다.
올해 연말까지 매달 북한의 취약계층 80만 명에게 식량을 지원한다는 계획이지만 지난 4월에는 절반 수준인 46만명을 지원하는데 그쳤다며 국제사회의 모금이 여전히 부족하다는 게 이 기구의 하소연입니다.
앞서 세계식량계획은 유엔이 강화된 대북제재 결의를 채택한 이후 구호물자 운송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세계식량계획의 북한사업 보고서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대북지원 사업에 어려움을 가중 시킨다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북한 내부로 송금하는 돈줄이 막히거나 구호식량을 운반할 화물 운송업체를 구하기 어려운 형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으로 향하는 화물선은 검색을 자주 받고 벌금이나 운항금지 조치를 당하는 경우도 많다고 보고서는 덧붙였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