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북한과 중국 간 수출입을 합한 총 교역규모가 전년 대비 약15% 증가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과 중국의 지난 2019년 한해 동안 수출입을 합한 북중 간 총 교역규모는 미화 약 27억8천9백만달러($2,789,018,980)로, 전년도 2018년 같은 기간 24억3천134만달러($2,431,348,000)와 비교해 14.71%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총 교역규모 뿐만 아니라 북한의 대 중국 수입과 수출 모두 증가했습니다.
미국의 북한전문 매체 ‘NK 뉴스’가 지난달 31일 입수한 중국 해관총서에 따르면, 북한의 지난해 대 중국 수입은 25억7천382만달러($2,573,821,663), 수출은 2억 1천 519만달러($215,197,317)였습니다.
수출입별로 살펴보면 지난해 북한이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규모는 약 25억7천만달러($2,573,821,663)로 전년도 약 22억2천만달러($2,218,140,000)에 비해 약 16% 증가했습니다.
아울러 지난해 북한이 중국에 수출한 규모는 약 2억1천520만 달러($215,197,317)로 전년 대비 약 2억1천320만 달러($213,208,000)에 비해 약 약 1% 증가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북한의 무역수지 적자가 약 23억6천만(2,358,624,346)달러에 달해 두 국가 간 무역 규모가 공개되기 시작한 1998년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전년도에 약 20억500만달러($2,004,932,000)의 적자폭으로 기록을 갱신했던 북한이 1년 만에 3억5천400만달러($353,692,346)의 적자를 더 기록하면서 중국과의 무역수지가 더욱 악화된 것입니다.
앞서, 북한의 대 중국 무역 적자는 1998년부터 2004년까지 약 2~4억 달러 수준을 유지하며, 지난 2005년부터 5억 달러를 넘긴 바 있습니다.
이후 2008년 12억7천만 달러, 2010년 10억8천만 달러 등 2017년까지 모두 세 차례 10억 달러가 넘는 적자를 기록했고, 지난 2018년 처음으로 약 20억달러($2,004,932,000)를 넘겼습니다.
한편, 이 해관총서 자료에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금수품목인 석탄과 원유 등의 불법 거래는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이와 관련해, 북한 경제 전문가인 윌리엄 브라운 미국 조지타운대학 교수는 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중국이 원유, 가솔린, 디젤유 등의 불법 수출과 선박 대 선박 불법 환적을 통한 중국의 대북 수출 규모는 상당한 수준일 것이라고 추정했습니다.
브라운 교수 : 많은 밀수가 이뤄지고 있다고 확신합니다. 이러한 행위는 중국과 북한 모두 쉽게 돈을 벌수 있게 해 줍니다.
한편, NK뉴스는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에도 불구하고 북한과 중국 간의 무역이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