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스위스 정부가 올해 들어 북한 주민을 돕는 지원사업을 위한 대북 인도주의 자금으로 약500만 달러를 추가로 기부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북한에 지원됐던 유엔 중앙긴급구호기금(CERF)이 올해 현재까지 지급되지 않았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국제사회의 인도주의 지원금 현황을 집계하는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은 지난 7일 스위스가 미화 약500만($4,985,045) 달러의 대북 인도주의 지원자금을 기부했다고 밝혔습니다.
21일 현재 유엔을 통한 국제사회 기부금의 흐름을 집계하는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 ‘재정확인서비스’(FTS)의 지원 관련 상세내역에 따르면, 스위스 정부는 미화 약 500만 달러를 세계식량계획(WFP)을 통해 북한 영양지원 사업에 직접 지원했습니다.
이번 지원금과 관련해 스위스 외무부 산하 개발협력처(SDC)의 피에르 알렌 엘칭거(Pierre-Alain Eltschinger) 공보담당관은 2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해당 금액은 세계식량계획에 배정됐고, 이 금액은2019년 1년 간 북한 식량안보 분야에서 스위스의 전문지식 제공과 관련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배정된다”고 설명했습니다. (The mentioned amount is allocated to the World Food Programme(WFP) to cover the costs related to the provision of Swiss expertise during one year (2019) in the domain of food security in North Korea. )
앞서, 러시아 정부는 지난달 30일 400만 달러를 세계식량계획에 지원해, 올해 대북지원국 중 최고액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스위스가 올해 초 약 100만달러를 지원한 후, 이번에 약500만 달러를 추가로 지원하면서, 21일 현재 스위스가 약 600만($5,986,046) 달러로 대북지원에 나선 6개국 중 가장 많은 대북 지원금을 기부했습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스위스가 약 600만 달러로 가장 많이 지원했고, 현재 지원자금이 들어온 6개국의 총 대북지원금(Total incoming funding)인 약 1천240만($12,389,028)달러 중 48.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5월 21일 현재 국가별 자금 모금 현황에 따르면, 스위스 뿐만 아니라 러시아, 스웨덴(스웨리예), 캐나다, 프랑스, 아일랜드 등 6개국이 올해 대북지원에 나섰습니다.
스위스에 이어 러시아($4,000,000/32.3%)가 가장 많이 지원했고, 스웨덴, 즉 스웨리예($1,578,383/12.7%), 캐나다($569,909/4.6%), 프랑스($140,924/1.1%) 아일랜드($113,766/0.9%) 순으로 지원에 나섰습니다. (사진 참고)
이런 가운데, 21일 현재 유엔 중앙긴급구호기금(CERF)의 올해 ‘국가별 자금조달 현황’(CERF Funding by Country 2019)을 살펴보면, 북한은2019년 1월1일부터 현재까지 중앙긴급구호기금을 지원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재 콩고, 예맨, 수단, 모잠비크, 우간다, 소말리아, 리비아, 이란 등 31개국이 총 약 3억1천 만($310,088,109)달러의 중앙긴급구호기금을 받았지만, 북한은 아직까지 받지 못한 것입니다.
북한은 지난 한 해 동안 약1천 만($10,003,768) 달러의 중앙긴급구호기금을 지원받은 바 있습니다.
특히 북한은 유엔이 중앙긴급구호기금 지원을 시작한 2006년을 제외하고,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12년 간 총 약 1억4천50만(140,545,049)달러의 긴급자금을 지원 받았습니다.
북한의 이 같은 액수는 지난 2007년 이후부터 총 약 1억 4천 400만 달러(143,580,942)를 받은 아프리카의 우간다에 이어 13 번째로 큰 규모입니다. (사진참고)

올해 긴급자금이 현재까지 북한에 지원되지 않은 것과 관련해, 21일 유엔 중앙긴급구호기금(CERF)에 자유아시아방송(RFA)이 문의했지만 답변하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