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유엔 세계식량계획(WFP) 한국사무소장은 북한의 어린이 5명 중 1명이 발육부진 상태라며 한국 정부의 대북지원금 공여가 이뤄지면 북한 내의 취약계층을 위해 쓰일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임형준 유엔 세계식량계획(WFP) 한국사무소장은 30일 한국 정부의 대북지원금 공여가 이뤄지면 북한의 영유아, 임산부, 수유부 등 취약계층에 대한 영양지원 사업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임 소장은 이날 한국 내신 기자들을 대상으로 열린 ‘북한의 식량현황 평가와 대북지원 정책의 방향’이라는 주제의 정책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임 소장은 “지난 2월 WFP 집행이사회의 공식승인을 통해 올해부터 북한 취약계층에 대한 영양지원, 취로사업, 긴급구호 등 3가지의 대북지원 사업을 시작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따라 WFP는 한국 정부로부터 받을 대북지원 공여금 대부분을 취약계층에 대한 영양지원 사업에 사용할 방침입니다. 취로사업, 긴급구호 사업은 향후 지원 정도에 따라 그 규모가 결정될 예정입니다.
임형준 WFP한국사무소장: 한국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으면 현재로서는 영양 지원 비중이 가장 큽니다. 그리고 취로사업이나 긴급구호 부분은 지원 정도에 따라 늘릴 수도, 줄일 수도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현재 WFP와 유엔 아동기금(UNICEF)에 800만 달러를 공여하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800만 달러 가운데 450만 달러가 WFP에 공여될 예정입니다.
임 소장에 따르면 WFP는 지원되는 비용 중 6.5%를 행정비로 지출하고 93.5%는 수혜자를 위해 쓰입니다.
북한 어린이들의 발육 상태가 지역별로 큰 격차가 있다는 설명도 덧붙였습니다. 양강도는 3명 중 1명이, 평양은 10명 중 1명이 발육부진 상태라는 겁니다. 북한 전체 어린이의 경우 5명 중 1명이 발육부진 상태입니다.
임 소장은 “발육 부진, 저체중, 급성 영양실조 어린이들의 비중이 줄어드는 추세”라며 “다만 지역간 격차가 굉장히 크고 50% 가량의 어린이가 여전히 필요한 영양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국제기구의 대북 지원이 북한 주민들에게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를 감시, 관리하는 모니터링 환경이 점차 개선되고 있다는 평가도 내놨습니다.
임 소장에 따르면 북한에 있는 15명의 국제요원과 35명의 현지 직원 등 50명 이상의 인력이 현재 북한에 상주하며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북한의 9개도 60개 군을 대상으로 월 100~150회의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임 소장은 “1990년대 중반부터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있는데 시간이 지날수록 개선되고 있다”며 “과거에는 모니터링을 위해 1~2주 가량을 기다렸는데 이제는 24시간 안에 모니터링이 가능하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 내 11개의 공장에서 인도지원용 영양 강화 식품인 ‘슈퍼시리얼’과 비스킷 등을 자체 생산하고 있다는 점도 소개했습니다.
북한에서 결핵 치료 사업을 하고 있는 민간단체 유진벨재단도 북한 내 결핵 환자들의 치료를 위해 대북지원이 시급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유진벨재단은 지난달 23일부터 지난 14일까지의 방북 결과를 설명하는 보고회를 열고 내년 6월이면 북한에 결핵 치료제 재고가 모두 소진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유진벨재단측은 “결핵은 공기로 전염되기 때문에 대북 결핵치료제 지원은 한국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는 길이기도 하다”며 “결핵 진단과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 진단 장비 등은 분배 투명성이 높고 전용될 가능성도 매우 낮다”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