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한국 정부가 세계보건기구(WHO)를 통한 북한 모자보건 사업에 500만 달러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서울의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가 북한의 영유아, 산모 사망률을 낮추기 위한 북한 내 취약계층 지원 사업에 기금을 지원할 예정입니다.
한국 정부는 6일 열린 제309차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 교추협을 통해 세계보건기구(WHO)가 추진하고 있는 북한의 모자 보건 의료지원 사업에 500만 달러를 지원하기로 의결했습니다.
한국 통일부는 “WHO가 북한 내 산모와 영유아의 열악한 보건의료 환경을 개선할 목표로 의료지원 사업을 추진해왔다”며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북한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한국 정부가 WHO에 지원하는 500만 달러는 북한 의료진과 교수진의 교육 훈련, 이에 필요한 응급, 수술 장비 마련 등에 사용됩니다. 또한 북한 내 산과와 소아과 병원, 의과대학에 대한 기관 평가에 사용됩니다.
사업 진행에 필요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면제와 관련된 문제는 WHO가 맡아서 처리할 예정입니다.
한국 정부의 국제기구를 통한 북한 취약계층 지원은 한국의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이번이 세번째입니다.
앞서 한국 정부는 지난 2017년 9월 유엔 세계식량계획(WFP)과 유엔 아동기금(UNICEF)에 800만 달러 공여를 결정하고 이를 실행했습니다. 800만 달러는 WFP와 UNCEF를 통해 북한의 취약계층 지원에 사용됩니다.
이와 관련해 한국 통일부는 WFP와 UNICEF에 공여된 800만 달러의 집행이 이뤄졌다고 밝혔습니다.
김은한 한국 통일부 부대변인: 일단 그 800만 달러 자체는 집행이 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지난 6월 WFP를 통한 대북 쌀지원도 추진했지만 북한이 이와 관련된 협의를 거부하면서 사실상 무산됐습니다.
한국 정부는 이날 한국 보건복지부 산하 단체인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이 추진하는 북한 아동과 장애인 지원을 위한 사업 안건도 통과시켰습니다. 이 사업에 지원되는 금액은 약 130만 달러입니다.
한국 내 일각에서는 북한이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상황에서 한국 정부가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사업을 추진하는 것이 적절한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됩니다.
이에 통일부는 “한국 정부는 남북관계 상황과 무관하게 북한의 영유아와 산모를 대상으로 한 인도적 지원을 지속해 나간다는 입장”이라며 2020년에도 관련 사업을 안정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