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정부가 인도적 차원의 대북 식량지원 계획은 변함이 없다면서도 한국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청와대는 10일 북한의 단거리 미사일 발사에도 대북 인도적 식량 지원 계획에는 변화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전날 미사일을 발사한 상황에서 대북 식량 계획에 변화가 있느냐는 질문에 “새롭게 바뀌는 것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남북관계 주무부처인 통일부도 인도적 차원의 대북 식량지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다만 한국 국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추진해나가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유진 통일부 부대변인 : 북한의 식량 사정이 매우 심각한 상황에서 북한 주민에 대한 동포애와 인도주의적 차원의 식량지원이 필요하다는 한국 정부의 입장에는 변화가 없습니다. 다만 국민적 공감과 지지가 필요한 만큼 국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여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전날 취임 2주년을 맞아 진행된 한국 공영방송 KBS와의 대담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해 경고를 보내면서도 인도적 차원의 대북 식량지원에 대해선 미국과 이견이 없다며 추진 의사를 밝혔습니다.
문 대통령은 최근 한미 정상 통화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해 적극적인 지지를 보냈다고 말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트럼프 대통령이 절대적으로 축복을 한다, 굉장히 아주 큰 좋은 일이라고 자신이 생각한다는 것을 또 이렇게 발표해달라…
문 대통령은 “올해 1월부터 식량 배급량을 많이 줄인 북한이 6월부터 8월까지 춘궁기에는 더 줄일 전망”이라며 “북한 인구의 40% 정도가 기아에 직면하게 돼 아동과 여성이 집중적으로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