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는 20일 북한이 최근 열린 세계보건기구(WHO) 회의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단 한 명도 없다고 거듭 주장하며 제재완화를 촉구한 데 대해 “북한 주민들의 취약성을 우려한다”고 거듭 밝혔습니다.
국무부 대변인실은 이날 자유아시아방송(RFA)의 관련 논평 요청에 지난 2월 코로나19 관련 국무부의 성명을 참고하라며 그같이 답했습니다.
당시 국무부는 북한 내 신형 코로나바이러스(비루스) 확산을 막기 위한 미국 및 국제구호∙보건기관의 지원을 강력히 지지하며, 미국은 이러한 기관들의 대북지원을 신속히 승인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앞서 북한은 지난 18일과 19일 열린 회의에 제출한 서면 입장문에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국가 간 연대와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면서 “일방적인 경제·금융·무역 제한, 유엔 헌장과 기타 국제법을 부정하는 반인도적 제재, 그리고 지원과 관련한 모든 종류의 차별과 정치화를 끝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북한은 이어 코로나19 사태를 정치적으로 악용하며, 책임을 세계보건기구와 한 국가에 전가하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비판했습니다. 북한이 특정 국가를 언급하진 않았지만 일각에서는 코로나19 초기 확산의 책임을 중국에 묻는 미국을 겨냥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한편 북한이 코로나19확진자는 한 명도 없다면서도 지원을 방해하는 대북제재를 철회하라는 주장에 대해 미국 헤리티지재단의 브루스 클링너 선임연구원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압박을 줄이려는 북한의 속임수라고 평가했습니다.
클링너 연구원은 20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오히려 북한이 미국이나 한국 정부가 제안한 인도주의 지원을 거부하고 있다면서 북한이 비핵화될 때까지 대북제재는 지속적으로 유지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