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민간 대북지원 단체들, 정부와 대북지원 규제 협의

0:00 / 0:00

앵커: 미국의 민간 대북지원 단체들이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음달 미국 정부 관계자들을 만나 관련 규제 등을 협의할 예정입니다. 이상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의 민간단체 전미북한위원회(NCNK)의 키스 루스(Keith Luse) 사무총장은 20일 워싱턴 조지워싱턴 대학에서 열린 강연회에서 미국 비영리 단체들이 미국 정부의 대북 제재 규정을 준수하면서 대북 인도적 지원 활동을 하는 것을 돕기 위해 애쓰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의 비영리 단체들이 대북 인도주의적 지원 활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다음달 미국 정부 부처 관계자들을 만나 관련 협의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루스 사무총장: 우리는 국무부, 재무부, 상무부의 대북지원 관련 협조 상황을 만족스럽게 생각합니다. 대북 인도적 지원과 관련된 우려가 해소되길 희망하는데, 4월에 국무부, 상무부, 재무부 대표들을 만나 관련 어려움을 해결할 방침입니다. (We are pleased by the level of cooperation from State department, from Treasury Department, from Commerce department. We are hopeful that concern we have will be addressed, in April we will be meeting with representatives of State, Treasury and Commerce department along with NGOs to sort through some challenges.)

루스 총장은 미국의 인도주의적 단체들은 미국의 대북제재 후 일부는 활동이 증가했지만 기부자 입장에서는 이런 인도주의적 지원 활동이 미국 정부의 대북제재 관련 규정에 위배되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한 니키 헤일리 주유엔 미국 대사 측의 도움으로 미국 비영리 단체들의 대북 인도주의적 지원활동이 유엔 제재의 예외가 될 수 있도록 유엔 제재위원회에 호소하는 절차를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현재 싱가포르의 한 비영리단체에서 북한 노동자 2천명에게 직업교육을 시키고 있고 캐나다 브리티시 콜럼비아 대학의 한 교수는 북한 교수 6명을 초청해 시장경제 등을 가르치고 있는 등 국제사회는 대북 제재 가운데서도 인도주의적 및 교육 차원의 대북 지원에 나서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도 20일 국제사회 대북 제재로 유엔 등 정부 차원에서 북한에 대한 인도적 지원은 줄어들었지만 기독교 단체 등 비영리단체들의 대북 인도주의적 지원활동은 늘어났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루스 총장은 향후 북한에 대한 인도주의적 지원 활동은 미북 간의 관계가 좋아져야 더욱 활발해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만일 미북 정상회담이 실패하고 그 후 북한의 추가 도발이 있을 경우 미국 정부나 의회에서 추가 대북제재를 가하게 되면 대북 인도적 지원은 힘들어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