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노르웨이 정부의 지난해 대북지원 규모가 미화 약 160만 달러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런 가운데 노르웨이 정부는 북한을 둘러싼 정치적 상황과 관계없이 대북지원을 지속할 것임을 강조했습니다. 지예원 기자가 보도합니다.
노르웨이 정부는 지난 수년간 다른 정치적 상황속에서도 북한의 취약계층을 위한 인도주의 지원을 제공해오고 있다고 노르웨이 외교부의 마리안느 하겐(Marianne Hagen) 외교차관(State Secretary)이 15일 전자우편을 통해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한해 노르웨이 정부가 1,450만 노르웨이 크로네, 즉 미화 약 160만 달러 규모의 대북 인도주의 지원을 국제적십자연맹(IFRC)과 유엔인구기금(UNFPA) 등을 통한 양자원조 형태로 제공했다고 전했습니다.
(Last year, 14.5 million NOK (approx. USD 1.6 million) was provided in bilateral humanitarian assistance channeled through The International Red Cross Federation (IFRC) and UNFPA.)
다만, 올해 노르웨이의 대북지원 예산 규모에 대해서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이어 노르웨이 정부는 유엔 중앙긴급구호기금(CERF)을 통해서도 대북지원을 제공했다고 말했습니다.
유엔 중앙긴급구호기금에 따르면 지난해 노르웨이의 총 지원액은 약 5,500만 달러로, 독일, 스웨덴 즉 스웨리예, 네덜란드 등과 함께 이 기금에 대한 최대지원국 중 하나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대북지원에 있어 중요한 유엔 기구인 세계식량계획(WFP)과 유엔아동기금(UNICEF) 등에도 용도를 특정하지 않은 상당한 규모의 자금(substantial and non-earmarked contributions)을 지원하고 있다고 하겐 차관은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그는 노르웨이 정부 대표단이 지난해 11월 24일부터 30일까지 일주일간 대북 인도주의 지원에 대한 후속조치로 북한을 방문해 북한 당국 및 구호단체 관련자들과 만났고, 세계식량계획을 포함한 인도주의 지원사업 현장을 방문했다고 전했습니다.
이와 관련,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은 최근 북한 국가보고서(Country Brief)를 통해 한국과 중국에 주재하는 노르웨이 대사관 대표단이 지난해 11월 북한 황해남도 신원군에 위치한 세계식량계획의 대북 지원사업 현장을 둘러보았다고 전한 바 있습니다.
그러면서 세계식량계획은 이 보고서에서 노르웨이 정부 대표단이 이번 방북시 이 기구가 5세 미만 아동들에게 영양지원을 하는 탁아소와 재난위험경감(DRR) 사업으로 추진 중인 제방 작업 및 저수지 공사 현장 등을 시찰했다고 소개했습니다.
하겐 차관은 또 북한 내 여전히 상당한 인도주의 지원 수요가 있다면서, 노르웨이 정부는 북한 인구 중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