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농무부는 올해 북한 작황도 기후와 코로나19 등 복합적 요인으로 좋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미국 농무부(USDA)가 27일, '2021/2022 북한의 계절별 수확량 전망(North Korea 2021/22 Seasonal Crop Outlook)'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농무부는 보고서에서, 올해 북한의 쌀 생산량은 약 200만톤이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지난 5년 평균 수확량보다 10퍼센트가 적은 양입니다.
옥수수 예상 수확량은 약 230만톤으로 그간 평균치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무엇보다, 쌀농사는 올해도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북한의 상반기 강우량은 벼농사에 적합한 수준인 것으로 미 농무부는 평가했습니다.
하지만, 하반기의 충분한 강우량을 장담할 수 없는데다 여러가지 악조건 때문에 올해 북한의 농사전망은 어둡기만 합니다.
미 농무부는, 수학량 감소를 야기하는 주요 원인으로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북한당국이 취한 북중국경 폐쇄를 꼽았습니다.
국경이 막히면서 중국으로 부터 들여오던 개량 종자와 비료, 제초제, 해충방제 화학물질, 농기계 및 예비 부품의 수입량이 크게 줄었기 때문입니다.
올해 들어 벼 재배면적은 지난 5년 평균보다 2퍼센트가 늘었지만 수확량 증가를 기대할 수 없습니다.
북한 경제 전문가인 윌리엄 브라운(William Brown) 미국 조지타운대 교수는 28일 전자우편으로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은 근본적으로 협동농장 제도를 폐지해야 수확량을 늘릴 수 있다"며 "북한의 변덕스런 날씨도 큰 변수가 될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앞서 북한 관영매체는, 이달 들어 북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폭염이 지속되면서 농작물들이 가뭄 피해를 받기 시작했다고 보도하기도 했습니다.
농업전문가인 미국 미저리대학의 제리 넬슨(C. Jerry Nelson) 교수는 2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보낸 전자우편에서 "북한의 농업은 이미 올해 농사철 중간 단계에 와 있고, 수확을 위한 농기계 및 연료 확보를 제외하고는 개량 종자, 비료, 제초제, 해충방제 화학물질 문제를 해결하기에는 너무 늦었다"면서 "폭염과 가뭄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농사철 초반에 했어야 하는데 시기를 놓쳤다"고 말했습니다. (It is almost impossible to adjust mid-way for heat waves and droughts since the practices to minimize these must be applied earlier in the season.)
그는 또, "올해 북한의 농사는 암울하고 생산 회복 가능성이 거의 없다"면서 "가뜩이나 낮은 수확량에 유통기지로의 운송과 곡물 저장 및 가정으로의 재분배 과정에서 일어나는 손실로 인해 수확량은 더 감소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The harvest this year is grim and there is little chance for recovery of production. And, the lower crop yield will be further reduced in the harvest and other losses during transport to distribution centers, storage of the grains and redistribution to the households.)
기자 홍알벗,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