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스위스와 독일 정부가 올해 들어 북한 주민을 돕는 인도지원 사업에 미화 약 132만 달러를 제공하기로 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은2일 기준으로 국제사회가 올해 들어 북한에 132만 달러($1,324,963)를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2일 현재 유엔을 통한 국제사회 기부금의 흐름을 집계하는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 '재정확인서비스'(FTS)의 지원 관련 상세내역에 따르면, 스위스가 미화 약 121만($1,209,469) 달러, 독일이 약 12만($115,494) 달러로 총 132만($1,324,963) 달러 가량의 대북 인도주의 지원을 하겠다(commitment)고 밝혔습니다.

스위스 정부는 외무부 산하 개발협력처(SDC)를 통해 황해남도, 황해북도 홍수 대응 지원 등 대북지원 사업에 미화 약 5만530($50,528) 달러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또 스위스 정부는 유엔아동기금(UNICEF)의 지원 사업에 미화 약 116만($1,158,941)달러의 지원을 약속한 상태입니다. 이 자금은 코로나19로 인한 필수 영양 강화 사업 등 북한 내 식량안보 지원 사업에 사용됩니다.
아울러 독일 정부는 '평안남도, 평안북도 및 강원도 농촌 인구를 위한 식량 지원 사업'을 위해 독일의 구호단체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를 통해 약 12만($115,494) 달러를 지원하게 됩니다.
이런 가운데, 올해 1월은 지난해와 달리 대북지원 규모가 약 83% 감소했고, 대북지원 공여국도 3개국에서 2개국으로 감소했습니다.
실제 지난해 1월 당시 한국($5,726,914)과 스위스($1,352,166), 독일($671,741) 정부가 북한 주민을 돕는 지원 사업을 위한 대북 인도주의 자금으로 미화 약 775만($7,750,821) 달러를 지원하거나 약속한 바 있습니다.
지난해 1월과 올해 1월을 비교해보면, 올해 현재 스위스, 독일 등 대북지원 규모 총 132만 달러와는 약 643만 달러나 차이가 나고, 무려 약 83% 감소했습니다.
이와 관련, 미국 민간기관인 민주주의수호재단(FDD)의 매튜 하 연구원은 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국제사회가 올해 북한에 인도주의적 지원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습니다.
코로나 19의 세계적 유행으로 북한 뿐만 아니라 전세계 여러 국가들이 재정적인 위기에 직면해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하 연구원은 김정은 정권이 대북지원의 혜택을 가장 취약한 주민들에게 주지 않고 정권을 위해 인도적 지원을 일부 착취하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에, 다른 외국 정부가 대북 인도주의 지원에 유보적인 태도를 보일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하 연구원: 전반적으로 북한은 수많은 위기에 직면해 있는 국가입니다. 국제사회와 유엔은 대북지원이 가장 취약한 사람들에게 제공되도록 검증해야 합니다.
아울러 그는 코로나19로 북한 내부의 불안정과 잠재적인 위기가 한반도 지역의 안보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기 때문에, 중국을 비롯한 북한 인접국들은 대북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려는 경향이 더 커질 수도 있다고 전망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