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지원단체의 지원물품...북 당국이 전용?

0:00 / 0:00

앵커 : 북한 당국이나 관리들이 한국 정부와 국제사회가 북한 주민들을 위해 지원한 식량과 물품을 각종 방식을 동원해 전용하고 있다는 우려가 나왔습니다. 이에 대해 대북지원 단체 관계자는 러시아와 중국이 북한에 지원한 식량 등에 대해서는 제대로 분배 감시가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국제 대북지원 단체의 한 관계자는 지난 23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세계식량계획(WFP)이나 유엔아동기금(UNICEF) 등이 북한에 지원하는 비스킷 등 식량의 ‘국제 원조’(international aid)는 함경북도 등 정해진 지역에 분배돼 모니터링, 즉 분배 감시가 잘 이뤄진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 관계자는 “러시아나 중국 정부가 북한에 ‘식량 원조’(food aid)를 하는 경우에는 분배 감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소규모의 국제 단체나 북한 내 단체는 현저하게 다른 분배 감시 기준을 가지고 있어 제대로 감시가 이뤄지기 힘들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대북지원 물품이 군과 당 고위간부들에게 흘러들어 간다는 사실이 탈북자들의 증언을 통해 알려졌다는 데 대한 반응입니다.

실제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최근 소식통을 인용해 국제사회가 북한에 제공한 인도주의 지원물자들이 북한 일부 지역 간부들에 의해 빼돌려지고 있다는 소식을 전한 바 있습니다.

이 때문에 국제사회는 주민들에게 지원 물품을 직접 지원하거나 분배 감시를 강화하는 등 각종 방식으로 북한의 지원 물품 전용 행태를 감시해 왔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미국의 또 다른 비정부단체 관계자도 24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이번 달 대북 지원 등의 분배 감시 그리고 앞으로의 지원 계획 논의 차 북한을 방문했다면서 “사실 북한으로 보내는 물품의 운송이 지연되고 분배 감시 인원에 대한 통제가 심한 것은 하루 이틀이 아니다”라고 털어놨습니다.

한편, 미국 동남부 노스캐롤라이나주에 본부를 둔 국제 구호단체 ‘라이즈 어겐스트 헝거 (Rise Against Hunger)’는 24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조선의 그리스도인 벗들 (CFK)’과 협력해 대북 지원을 하고 있다며 미국 국무부에서 대북지원이 승인된 4개 단체 중 하나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대북지원은 미국 재무부 산하 해외자산통제국(OFAC)과 국무부의 규정에 따라 엄격히 집행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해 영국의 민간단체 '북녘 어린이 사랑'의 조지 리 대표도 “모니터링, 즉 분배감시 실사가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다”며 “최근에도 북한의 유치원과 학교의 아이들과 교사들에게 접근할 기회를 얻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리 대표는 기증된 빵은 도움이 필요한 어린이들에게 제공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독일의 비영리기구인 세계기아원조(Welthungerhilfe)는 대북 지원물품 분배 감시 문제와 관련해 “유감스럽지만 지금 당장 북한에 관한 어떠한 상황도 언급하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