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유엔 산하 중앙긴급구호기금(CERF)이 북한 주민 약 400만 명을 위해 미화 약 500만 달러의 긴급지원을 승인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5일 자유아시아방송(RFA)이 입수한 유엔 중앙긴급구호기금의 대북 긴급자금 지원금 할당 내역에 따르면, 북한 주민 359만 3천 904명을 지원대상으로 한 약 500만($4,999,689) 달러의 중앙긴급구호기금이 4일 승인됐습니다.
이 약 500만 달러의 대북 긴급자금은 유엔아동기금(UNICEF·$1,199,887)와 세계보건기구(WHO· $499,733), 세계식량계획(WFP· $1,900,000), 유엔인구기금(UNFPA· $700,069), 그리고 식량농업기구(FAO ·$700,000) 등 북한 주민을 대상으로 인도주의 지원활동을 하는 유엔 산하 5개 기구에 투입됩니다.
해당 기구의 올해 사업별 기금 내역을 살펴보면, 유엔아동기금에는 '신생아와 아동 질병 통합관리체계(IMNCI)를 위한 의약품 제공'($699,887)과 '임산부 및 수유모, 신생아의 질병 및 사망을 예방하기 위한 보건의료시설의 물∙위생∙청결(WASH)'($500,000) 등 2개 사업에 약120만($1,199,887) 달러가 지원됩니다.
이어 세계보건기구의 '취약 계층의 장애 예방'에 약 50만($499,733) 달러, 세계식량계획의 '임산부 및 수유모 등을 위한 영양지원 및 재난으로 인한 취약계층에 대한 식품 지원'에 190만($1,900,000) 달러가 쓰입니다.
아울러 유엔인구기금의 '산모, 신생아 및 5세 미만의 보건과 생명 유지'에 약 70만($700,069) 달러, 식량농업기구의 '어린이, 여성 및 환자의 영양 개선을 위한 채소 및 콩 생산 지원'에 약 70만($700,000) 달러가 지원됩니다.
이번에 승인된 대북 긴급자금 약 500만 달러는 유엔 중앙긴급구호기금 '국제사회의 지원 감소에 따른 자금 부족분에 대한 지원금'(Underfunded Emergencies∙UFE) 형태로 지급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유엔 중앙긴급구호기금은 가뭄, 홍수, 식량부족 등을 위한 '신속 대응 지원금'(Rapid Response∙RR)과 '국제사회의 지원감소에 따른 자금 부족분에 대한 지원금'(UFE) 등 두 분야로 구분돼 있습니다. 이에 따라 북한은 중앙긴급구호기금 제도가 시작된 2006년을 제외하고, 2007년부터 올해까지 14년 연속 수혜국 명단에 포함됐습니다.
또 5일 현재 500만 달러의 지원금이 승인된 북한은 올해 긴급지원 대상국인 전 세계 빈곤국 31개국 중 22번째로 많은 지원을 받게 됐습니다.
북한은 유엔이 중앙긴급구호기금 지원을 시작한 2006년을 제외하고,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13년 간 총 약 1억4천700만($146,544,947) 달러의 긴급자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이 중 약 1억100만달러는 '국제사회의 지원감소에 따른 자금 부족분에 대한 지원금'(UFE)이였고, 나머지 약4천600만 달러는 '신속 대응 지원금'(RR) 항목으로 전달됐습니다.
한편, 5일 현재 올해 유엔 산하 중앙긴급구호기금 국가별 공여액수에 따르면, 가장 많이 기금을 지원한 국가는 네덜란드($75,367,214)였으며, 이어 스웨덴(스웨리예·$64,791,219), 독일($54,175,000), 노르웨이($45,835,996), 스위스($13,448,217), 아일랜드($10,680,978), 핀란드($8,775,200), 호주(오스트랄리아∙$7,518,476)에 이어 한국($5,823,817)이 9번째로 가장 많은 자금을 지원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