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북한산 석탄 밀수 자국기업 조사 개시”

0:00 / 0:00

앵커 : 호주(오스트랄리아)에 이어 스웨덴, 즉 스웨리예 당국이 북한산 석탄을 밀수해 대북제재를 위반한 혐의로 자국에 본부를 둔 회사를 조사하기로 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최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제위원회 전문가단이 공개한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스웨덴에 기반을 두고 있는 한 회사가 지난해 1월과 7월 중국 소유 선박인 ‘카이샹’(Kai Xiang)호를 이용해 북한산 석탄을 베트남, 즉 윁남에 밀수출했습니다.

대북제재위원회 전문가단은 이 회사가 서류를 위조해 석탄 약 2만톤을 밀수해 20억 달러를 벌어들였고, 이 자금이 북한의 핵 개발 프로그램에 쓰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습니다.

현재 스웨덴에 기반을 둔 이 회사의 이름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지난달 호주, 즉 오스트랄리아도 스웨덴과 마찬가지로 북한산 석탄을 러시아산으로 둔갑시켜 선적해 대북제재를 위반한 혐의로 자국 부동산 회사를 조사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하지만 호주와 달리 스웨덴 당국은 이러한 유엔의 대북제재 위반 의혹 지적에 대해서 지금까지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면서, 이제서야 조사를 시작하기로 했다고 9일 스웨덴 언론이 보도했습니다.

스웨덴 일간지인 ‘다겐스 뉘헤테르’(Dagens Nyheter)에 따르면 스웨덴 외교부의 프레드릭 노르딕 대변인은 전문가단으로부터 제재 위반이라는 어떠한 지적도 없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노르딕 대변인은 “스웨덴은 이 보고서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며 “이 회사에 대해 조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그는 스웨덴은 북한에 대한 제재 조치가 충실히 이행되기 위해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지난달 리용호 북한 외무상을 예방한 스테판 뢰벤 스웨덴 총리는 대북제재를 충실히 이행하며 ‘미북회담 중재자 역할’에 나서겠다고 공개적으로 거론한 바 있습니다.

뢰벤 총리: 스웨덴이 한반도 문제 협상 과정에서 합의 도출을 돕는 중재자 역할을 할 수 있다면 기꺼이 할 것입니다.

이와 관련 자유아시아방송(RFA)은 10일 스웨덴 외교부와 유엔 주재 스웨덴 대표부에 전자우편과 전화를 통해 문의했지만 아무런 답변도 받지 못했습니다.

한편, 현재 호주는 지난해 8월 5일부터 북한산 석탄을 러시아산으로 속여 선적해 유엔 대북제재 결의를 위반한 혐의를 받고 있는 ‘브리트 오스트레일리아’(Brigt Australia)와 이 회사의 임원인 리비아 왕(Livia Wang)씨를 조사 중에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유엔에 ‘카이샹’ 호의 불법 밀수 장면을 제출하고 해당 선박의 제재 지정을 요구했지만 중국의 반대로 제재 대상에서 제외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