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영향으로 북한의 지난해 경제성장률이 2년 연속 큰 폭으로 후퇴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은행은 26일 발표한 ‘2018년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 결과’를 통해 지난해 북한의 GDP, 즉 실질 국내총생산이 전년대비 4.1% 감소한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북한이 재해와 흉작 등으로 어려움을 겪던 이른바 ‘고난의 행군’ 시기인 1997년 이후 가장 큰 감소폭입니다.
그 전해인 2017년에는 3.5% 역성장한 북한 경제가 2년 연속으로 크게 후퇴한 것입니다.
북한의 경제성장률은 지난 2011년 이후 1% 안팎을 유지하다가 2015년 1.1% 역성장한 뒤 다음해인 2016년 3.9%로 크게 반등한 것으로 추정된 바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2017년 하반기부터 북한 경제에 영향을 미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지난해에는 한 해 전반에 걸쳐 부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대북제재가 악화된 기상 여건과 함께 북한의 산업생산 감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는 설명입니다.
이관교 한국은행 국민계정부 국민소득총괄팀 차장 : 2018년 북한 경제 성장률의 4.1% 감소에는 크게 두 가지 요인이 영향을 미친것 같습니다. 우선 대북 경제제재로 인해서 광업과 제조업이 큰 폭의 감소세를 나타냈고요. 폭염 등의 영향으로 곡물 생산이 줄어들었습니다.
지난 2017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는 무연탄과 철광석, 수산물과 섬유제품 등 북한의 주요 수출품 수출을 금지하고 석유류와 산업기계, 철강 등을 수입하지 못하도록 결의한 바 있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북한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농림어업과 광업, 제조업 등의 지난해 생산 감소폭은 전년보다 더욱 커졌습니다.
광공업이 지난해 북한 경제에서 차지한 비중은 그 전해인 2017년 대비 2% 넘게 하락해 제재의 영향을 받은 광공업이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출입 제재 여파로 지난해 북한의 대외무역 규모는 2017년보다 50% 가까이 줄어든 28억 4천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수출은 2억 4천만 달러로 1년 만에 86.3%나 감소했는데 한국은행이 1991년부터 북한 경제성장률을 추정해온 이후 가장 큰 감소폭입니다.
수입은 26억 달러로 전년대비 31.2% 감소한 가운데 수입금지 대상이 된 수송기기와 기계류 등에서 크게 줄어든 수치를 보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남북한 간 반출입 규모는 3천 13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2016년 개성공단 폐쇄조치 이후 남북한 간 교역이 사실상 중단된 상황에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시설 개보수와 관련한 기자재 반출입이 주를 이룬 것으로 풀이됩니다.
지난해 북한의 GNI, 즉 명목 국민총소득은 303억 달러 규모로 한국의 53분의 1 수준으로 나타나 2017년보다 차이가 더 커졌습니다.
1인당 GNI는 1천 200달러 정도로 한국의 26분의 1 수준이며 미얀마의 GNI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은 이번에 발표한 북한 경제성장률 추정치에 대해 자료수집 한계상 한국 기준을 적용해 북한의 경제지표를 산출한 것이라면서 남북한 간 경제력 비교에는 유용하지만 이를 다른 국가의 지표와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