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유엔 산하 식량농업기구는 북한이 가뭄, 홍수 등 자연재해와 국제사회의 제재로 식량사정이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하면서 긴급 대응이 시급한 위기국가로 지목했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식량농업기구(FAO)는 3일 공개한 ‘세계 식량안보’ 관련 보고서(Early Warning Early Action report on food security and agriculture)에서 홍수와 가뭄 등 자연재해와 국제사회의 엄격한 경제 제재로 북한의 식량상황이 2018년 마지막 3개월 동안 더 나빠질 것으로 우려했습니다.
아울러 보고서는 “지난해에도 비슷한 가뭄으로 북한의 전체 식량 생산이 7.2% 감소했다”면서, 북한 내 소식통을 인용해 올해 식량 수확량 수준이 지난해 보다 더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경고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전 지역에서 7월 중순에서 8월 중순까지 평균 이하의 강수량과 섭씨 40도 이상의 기온을 기록하며 가뭄을 겪었습니다.
또 8월 하순에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 함경남도와 함경북도에서 폭우가 이어지면서 농작물과 기반 시설에 큰 피해를 줬습니다.
특히 보고서는 홍수로 인해 주요 농업 기반시설과 김치, 고추 등 식량 저장 창고가 손상을 입었고, 가뭄으로 인해 농작물 수확량이 줄어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올해 북한에서 옥수수가 최대 악영향을 받은 작물로 보고됐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보고서는 북한에서 약10만 헥타르의 농경지가 8월초 폭염으로 가뭄의 영향을 받았고, 홍수로 인해 약 12만 헥타르의 농경지가 피해를 입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보고서는 황해남도와 황해북도에서 8월말 670미리미터 이상의 폭우가 쏟아져 이재민 1만600명이 발생했고, 76명이 사망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이번 폭우가 북한의 연평균 강우량의 절반 이상이 단 24시간만에 내려 피해가 더 컸다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보고서는 지난해 채택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결의 2375호와 2371호에 따라 현재 진행 중인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가 북한의 식량 상황을 더 악화시켰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보고서는 “가뭄과 홍수가 복합적으로 발생해 북한의 식량 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며 “연속적인 위험의 영향을 완화하고 가장 취약한 사람들의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 조기 목표를 설정해야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한편, 식량농업기구는 12월까지 홍수 피해를 입은 황해남도에 종자, 비료, 2륜 트랙터, 소형 농기구 등의 지원이 필요하고, 10월까지 황해남도에 가금류 및 돼지 등 소규모 가축, 의약품 및 건축자재 등의 즉각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권고했습니다.
아울러 이 기구는 이번 보고서에서 공개한 '글로벌 위기지도(Global risk map)'를 통해 식량 부족 상황이 예상되는 국가로 북한을 비롯해 미얀마, 방글레데시, 베네수엘라, 아프가니스탄, 남수단, 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등 14개국을 지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