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무역회사 지프차 밀수하다 적발돼”

0:00 / 0:00

앵커 : 김정은위원장의 방중 이후 중국의 대북제재가 완화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지만 중국당국의 밀수단속은 여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3월말 북한무역회사가 지프차를 밀수입하려다 중국변방대 순찰조에 의해 현장에서 발각되었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손혜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최근 북한매체들이 김정은의 방중 성과를 ‘피로 맺어진 조중 친선 강화 발전’으로 선전하는 가운데 중국 변방대가 북한의 지프차 밀수를 현장에서 적발하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평안북도의 한 소식통은 2일 “지난달 말 중국 단둥시 외곽 관전에서 지프차를 싣고 평안북도 의주로 향하던 (북한)밀수선이 중국 변방대 순찰에 걸려 단속됐다”며 “선박에 실린 지프차는 군용차량으로 알려졌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중국에서 북한으로 지프차를 배로 실어 밀수한 경로.
중국에서 북한으로 지프차를 배로 실어 밀수한 경로. (Photo courtesy of Google Map)

소식통은 “이번 군용 지프차 밀수는 중국 변방대를 끼고 치밀한 계획 아래 시도되었지만 압록강을 순찰하던 또 다른 중국변방대가 밀수선박의 출항시점에 맞춰 나타난 것을 보면 미리 정보를 알고 대기한 것 같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이번 밀수사건으로 단속된 무역회사 이름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군 소속 무역회사로 추정된다”며 “대북제재로 공식무역이 꽉 막힌 상황에서 지프차 밀수처럼 큰 거래는 당이나 군에 소속된 중앙무역기관들만 시도할 수 있는 일”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관련 평안북도의 또 다른 소식통은 “대북제재로 차량은 물론 자동차부품도 수입이 안 되고 있다지만 당과 군부 소속 무역회사들은 여전히 벤츠, 폭스바겐 등 유럽산 고급차를 밀무역으로 들여오고 있다”며 “밀수로 들여온 외제차들은 돈주들에게 비싼 값으로 판매돼 무역회사들이 폭리를 취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당국이 당자금 확보와 군부의 외화수입을 위해 수입금지 품목인 사치품들을 국가 공식 무역와크로 지정해 주면서 국가차원의 밀수를 조장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