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당국이 허가한 시장 414개...6년 전과 비슷해”

평양 통일시장에서 한 시민이 야채를 사고 있다.
평양 통일시장에서 한 시민이 야채를 사고 있다. (/AP)

0:00 / 0:00

앵커 :북한 내에 당국으로부터 공식 허가를 받아 개설된 시장이 지난해 기준으로 모두 414개라는 분석이 한국 내에서 제기됐습니다. 지난 2016년 조사 때보다 1개 줄어든 것으로, 인구 증가에 비해 시장 수는 정체됐다는 평가입니다. 서울에서 홍승욱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국책연구기관 통일연구원이 내놓은 ‘2022 북한 공식시장 현황’ 보고서.

이에 따르면 지난 2003년 종합시장 개설 이후 북한 당국이 공식 허가한 시장은 지난해 기준으로 모두 414개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일연구원이 지난 2016년 실시한 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1개 감소한 것으로, 6년 동안 공식시장 수가 정체 국면을 보인 것입니다.

공식시장 1개당 인구수는 6만 2천 명 정도로, 2016년 당시 5만 6천여 개에 비해 약 5천 5백 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 통계청이 내놓은 북한 인구 추정치에 따르면 지난 조사 결과와 비교할 때 시장 1개가 감당하는 인구수가 약 2천 명 정도 증가한 것인데, 인구 증가에 비해 시장의 수는 정체돼 있다는 분석입니다.

연구진은 다만 각 시장이 시설 규모 확대를 통해 늘어난 인구수를 어느 정도 소화하고 있거나, 공식적인 종합시장 말고도 상품 소비·유통 방식이 다양해진 점이 반영된 결과일 수 있다는 분석도 함께 내놓았습니다.

도별로는 평안남도에 68개로 가장 많은 공식시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평안북도에 50개, 황해남도에 34개, 그 뒤를 황해북도와 강원도, 자강도, 양강도가 이었습니다.

이것 역시 지난 조사와 비교해 큰 폭의 순위 변화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시·도별 평균 시장 수도 31.8개로 2016년의 31개와 비교해 미미한 차이를 보였습니다.

시별로는 공식시장 31개가 분포한 평양시가 지난 조사에 이어 가장 많았고, 청진시 22개, 남포특별시 21개, 함흥시가 11개로 뒤를 이었습니다.

특히 시장 수 상위 10위권 도시 가운데 7개 도시가 모두 서해축 해안과 내륙에 분포하는 등, 서해안축 지역 중심으로 시장이 집중되는 현상도 지난 조사 때와 같았습니다.

평안남·북도와 황해남·북도, 평양직할시와 남포특별시, 개성특별시 등 서해안축 4개 도 및 3개 특별시에만 전체 60%에 가까운 모두 242개의 시장이 분포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내륙으로 들어갈수록, 산간 지역일수록 시장 수가 적고 규모가 작다는 특징도 지난 번 조사와 같았는데 도시의 지리적 조건이 시장 입지에 일정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코로나 사태가 발생한 지난 2020~21년 북한 장세 동향과 관련해선, 국경 봉쇄 이후 수입품 유통량이 현저히 감소했고 중국산 공산품을 취급하던 상인들은 품목을 변경해 근근이 장사를 이어오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중국산 공산품에 대한 장세, 즉 세금이 가장 높은 만큼 상인들이 북한에서 생산된 잡화나 식료품으로 품목을 바꿨을 경우 시장관리소가 거둬들이는 세액도 감소했을 것이란 추정입니다.

이번 조사는 주로 인공위성 사진을 분석해 얻은 자료를 지난 번 조사 당시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뤄졌습니다.

앞서 통일연구원은 지난 2016년에도 공식시장 현황을 중심으로 한 북한 전국 시장 정보 보고서를 발간한 바 있습니다.

기자 홍승욱,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