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최근 한반도를 둘러싸고 대화 분위기가 조성되자 대북제재로 북한을 떠났던 중국업체들이 북한과의 수산물 거래 재개를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정부의 북한산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에 따라 북한을 떠났던 중국 수산물업자들이 최근 조심스럽게 방북을 준비하고 있는 정황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중국 변경 도시의 한 대북 소식통은 “황해도 해주에 상주하면서 북한의 바지락을 중국에 수입해 오다 중국당국의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로 철수했던 한 수산물 업자가 북한에 다시 들어가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면서 “대북제재가 완화될 것에 대비한 사전 준비작업의 하나” 라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이 업자는 (중국)남방지역에 출장을 가게 되었는데 북한에 들여가기 위한 바지락 종패를 미리 확보하기 위한 것”이라면서 “북한 수산사업소에서는 바지락 종패를 공급해주는 중국 수산물 업자들하고만 바지락 수출계약을 맺기 때문 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은 외화수입원인 바지락을 계속 채취만 해서 바지락이 고갈되고 있기 때문에 수산당국에서는 이 같은 정책으로 수산자원 고갈을 막고 있다는 얘깁니다.
중국의 또다른 소식통은 “라진에서 철수했던 중국의 수산물 업자 중에서도 방북 준비를 하는 사람들이 보인다”면서 “이들은 주로 라진에서 북한산 수산물을 가공한 다음 중국으로 들여 오던 업자들”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들 수산업자들은 라진에 냉동설비 등 시설물을 그대로 두고 왔기 때문에 시설점검도 하고 제재가 풀렸을 경우 사업을 재개하기 위해 방북을 준비하는 것”이라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중국의 또 다른 대북 소식통은 “중국업자들의 이런 움직임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곧 풀릴 것이라는 기대감에서 비롯된 것”이라면서 “하지만 현재 한반도를 둘러싼 상황을 너무 낙관적으로 보는 것 같아 한편으로는 불안하기도 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한국과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북한의 비핵화를 연일 강조하고 있는데 반해 북한은 아직까지도 비핵화에 대한 분명한 입장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면서 “벌써부터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완화를 기대하는 것은 너무 앞서 나가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