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중국 단둥의 북한영사관이 남북정상회담 직후 무역일꾼을 대상으로 한 강연회를 갖고 김정은위원장의 탁월한 정치수완으로 북한이 곧 무역강국으로 나서게 된다고 선전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손혜민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단둥 주재 북한 무역일꾼은 28일 “오늘(28일) 영사관에서는 단둥에 상주하는 무역대표들과 무역일꾼들을 대상으로 북남수뇌상봉과 회담을 성과적으로 이끌어 낸 김정은의 위대성을 선전하는 강연회가 있었다”며 “나라와 민족의 운명을 걱정하는 최고지도자가 판문점 분리선을 넘어 남조선 대통령을 직접 만나 북남경제협력에 필요한 실질적인 대책들을 세웠다는 내용이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강연회에서는 또 (김정은이)대담한 배짱과 천리혜안으로 핵실험 중단과 핵 실험장 폐기라는 결단을 내리면서 우리나라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게 되었다”며 “이제껏 단절되었던 북남경제교류가 활짝 열리게 되었다는 게 선전의 주된 내용”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특히 (김정은)이 중국을 방문한 이후부터 중국과의 무역 환경이 조선에 유리하게 조성되고 있다고 주장했다”며 “조-미정상회담까지 성사되고 나면 경제제재는 곧 풀리고 조선은 곧 무역 강국이 된다는 내용을 강조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와 관련 중국의 또 다른 소식통은 “중앙에서는 최근 조성된 정세를 이용해 각 무역 회사들에게 외국투자를 끌어들이고 합영회사를 추진하라는 내부 지시를 내렸다”며 “외국투자의 우선순위는 조선의 전기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송배전 설비와 발전설비 자금을 유치하는 데 주력하라는 내용” 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소식통은 “현재 평양에서는 중국에 상주하는 무역대표들에게 국제전화로 ‘남한의 투자라도 전혀 꺼려하지 말고 긴밀히 협상해 성사시키라’는 말을 대놓고 하고 있다”며 “국제사회의 경제제재로 인해 위에서(김정은) 바빠 맞은 것이 분명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앞으로 정세가 순조롭게 풀린다 해도 지금처럼 계속 당과 군부가 무역권을 틀어쥐고 있으면 나라의 경제와 인민생활 향상은 허황한 꿈으로 끝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