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압록강철교 통행 과적차량 강력 단속

0:00 / 0:00

앵커 : 중국 당국이 단둥과 북한 사이의 압록강철교를 통행하는 과적차량에 대해 전례없이 엄격한 단속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지금까지 일상적으로 과적 운행을 해오던 북∙중 양국의 화물차량들에 비상이 걸렸다고 현지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13일 이 같은 소식을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한 단둥의 한 무역 관계자는 “화물차의 적재량을 측정하는 축중기까지 새로 설치하며 과적단속을 예고해온 단둥 해관이 이번 주 월요일(9월10일)부터 차량 총중량이 35톤을 넘는 화물차들은 압록강 철교 운행을 금지 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차량 총 중량이란 차량 자체의 중량과 적재된 화물의 무게를 합친 것을 말하는데 남한을 비롯한 외국에서는 차량 총 중량이 40톤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과적으로 단속하고 있다”면서 “단둥 해관이 이보다 5톤을 더 낮춰서 단속 기준을 정한 것은 지은지 75년이 넘은 압록강철교의 안전성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조∙중양국의 화물차량들이 더 당황스러워 하는 것은 차량에 화물을 더 많이 싣기 위해 적재함을 개조한 차량에 대해서는 과적 여부와 관계없이 압록강 철교에 진입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라면서 “북조선이나 중국의 대형 화물차는 대부분 화물을 더 싣기 위해 적재함을 개조했기 때문에 운행에 큰 지장을 받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압록강 철교 일대의 차량 정비소들에는 급하게 적재함을 원상복구하려는 화물차들로 일대 혼란을 겪고 있다”면서 “적재함 개조차량에 대한 압록강철교 통행금지는 예고도 없이 시행되는 것이라 화물차 운전수들이 더 당황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이와 관련 단둥의 또 다른 소식통은 “더 큰 문제는 ‘빵통트럭’이라고 불리는 북조선의 대형 화물 탑차들”이라면서 “화물을 싣는 공간을 늘리느라 적재함을 개조했는데 원상태로 복구 시키려면 작업시간도 오래 걸리고 비용도 많이 들어가기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차량 총 중량 35톤을 초과하지 않으려면 한 번에 실을 수 있는 화물은 30톤이 채 안 된다”면서 “지금까지 50-60톤씩 싣고 다니던 북조선과 중국의 화물차들의 적재량이 절반으로 줄어드는 셈인데 결과적으로 2배 정도 물류비 인상요인이 발생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