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중국당국이 최근 도강증(여행허가증)을 갖고 중국에 입국해 편법 취업하려는 북한 노동자들에게 제동을 걸고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미 중국 기업에서 일하고 있는 북한 불법노동자들에 대해서도 출국 조치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뚜렷한 제재완화 조짐을 보이던 북-중 관계에 이상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10~20명 정도의 소규모 단위로 도강증(여행허가증)으로 중국에 입국해 취업하고 있는 북한 노동자들을 최근 중국 당국이 입국수속 단계에서 입국을 허용하지 않고 되돌려 보내기 시작했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전했습니다.
중국 단둥의 한 대북 소식통은 “도강증을 들고 무리지어 중국에 입국하려던 젊은 조선 사람들이 해관 입국과정에서 퇴짜를 맞고 조선으로 되돌아가고 있다”고 밝히면서 “이로 인해 소규모로 인력을 중국에 보내 취업 시키던 조선 무역일꾼들이 곤혹스러워 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중국해관의 입국 심사관은 도강증을 가지고 입국하려는 조선 사람들에게 중국에 들어오려는 이유를 꼬치꼬치 캐묻고 있다”면서 “이 과정에서 불법 취업을 위해 입국하려는 조선사람을 걸러내 입국허가를 내주지 않고 되돌려 보내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이런 이유로 중국해관에서 입국이 거절되어 되돌아가는 조선 사람들이 거의 매일 발생하고 있으며 중국해관이 입국심사를 까다롭게 하기 시작한 시점은 열흘 전쯤부터”라면서 “중국정부의 대북조선 제재완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비판적인 여론이 영향을 끼쳤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 중국의 또 다른 소식통은 “단둥 시 정부는 도강증을 소지한 북조선 노동자를 편법고용하고 있는 기업체들에 고용계약 기간에 상관 없이 즉시 돌려보내라는 공문을 내려 보냈다”고 전하면서 “이로 인해 이달(7월)들어 수백 명에 달하는 북조선 노동자들이 귀국한 것으로 알고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단둥 시 정부는 이 같은 지시의 배경을 명확하게 밝히지 않고 있어 궁금증만 더해 가고 있다”면서 “그 동안 중국 업체들 간에 누가 더 많은 북조선 노동자를 고용하는가 하는 문제 등 북조선 노동자 고용을 두고 갈등이 끊이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비교적 임금이 싸고 노동 효율성이 높은 북조선 인력 고용은 중국기업의 이윤창출과 직결된다”면서 “하지만 북조선 노동자에 대한 입국제한 및 송환조치가 비단 중국업체 간의 경쟁 때문만은 아닌 것은 분명하다”고 진단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