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각 지방, 바닷가양식사업소 건설 추진

0:00 / 0:00

앵커 :최근 북한이 바닷가 양식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당국이 바다를 낀 각 도에 현대적인 양식사업소를 꾸릴 것을 지시했습니다. 하지만 주민들은 물론 간부들도 양식장 건설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 북한 내부소식, 안창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해 12월 28일 함경남도 신포시 풍어동의 동해 바닷가에 새 양식사업소가 건설됐습니다. 양식장과 가공시설을 갖춘 이 사업소는 각 지역의 자연 부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데 대한 김정은의 지시에 따라 시범으로 건설된 것입니다.

함경북도의 한 주민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은 22일 “지금 전국적으로 8기11차 노동당전원회의가 제시한 과업 집행을 위한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며 “바다를 낀 지역에 건설되는 바닷가양식장도 그중 하나”라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함경북도의 경우 김책, 어랑, 삼해 등의 3개 지역을 놓고 어느 곳이 더 유리한 지 마지막 검토 중”이라며 “위치가 확정돼 설계가 나오는 즉시 건설에 착수하게 된다”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도내 간부들이 바닷가양식사업소 건설을 놓고 고민이 많다”며 “양식장 설치와 가공공장 건설에 필요한 자금과 원자재, 운영 설비 등을 어떻게 해결할지 마땅한 방도가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최근 학생교복공장, 가방 공장, 즉석국수공장, 식료공장, 일용품공장을 비롯해 도에 다양한 공장이 새로 건설되었는데 그에 필요한 모든 것을 다 도가 자체로 해결해야 한다”며 “농촌 주택 등 해야 할 건설도 많은 데 새해 벽두에 바닷가양식사업소 건설 과제가 또 부과됐으니 간부들의 고심이 깊은 상황”이라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과거에는 국가적 사업으로 추진된 공장 설비 같은 것을 나라에서 보장해주었으나 지금은 그에 대한 비용을 내야 한다”며 “수입 설비의 경우 필요한 외화를 자체로 충당해야 하는데 시, 군은 물론 도 무역국조차 외화벌이를 거의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돈을 마련하겠는가”라고 반문했습니다.

sea-farm1.jpg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함경남도 신포시 바닷가양식사업소 건설장을 현지지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북, ‘용두사미’ 전국 양어장 실태 검열Opens in new window ]

북 당국, 개인 바다 양식장 몰수Opens in new window ]

이와 관련 나선시의 다른 한 주민 소식통(신변안전 위해 익명요청)은 같은 날 “당국의 지시로 바다를 낀 지역들이 신포에 건설된 바닷가양식사업소 같은 현대적 양식사업소를 꾸려야 한다”며 “이에 대한 주민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최근 몇 년간 각종 사회적 동원이 대폭 늘어났다”며 “평양시 5만세대 주택 건설, 압록강 수해복구, 농촌 주택건설, 지방공업공장 건설, 표준 약국 건설 등이 다 주민 동원으로 진행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외에도 농촌에 보낼 도시 거름 생산, 파고철 수집, 수해민 지원, 각종 돌격대 지원, 인민군대 지원을 비롯해 돈이나 물자 등을 내는 다양한 명목의 지원사업도 거의 매일 이어지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사람들은 김정은이 그 무슨 지시를 했다고 하면 뭔지 궁금해하는 것보다 그로 인해 얼마나 시달릴지부터 우려한다”며 “동원, 지원이라는 말만 나와도 혈압이 오르고 신경이 곤두선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다”고 언급했습니다.

“최근 전국에 공장, 목장, 발전소 등 많은 대상물이 건설되었지만 당국의 주장과 달리 주민이 혜택을 받은 건 하나도 없다”며 “모두 시작과 선전만 요란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언제까지 주민동원으로 공장을 짓고 발전소를 건설하고 도로를 닦을 것인가”라면서 “국가의 책임이 없이 주민들의 땀과 주머니를 짜내 문제를 해결하는 이 악습이 언제 없어질지 궁금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에 따르면, 과거에도 북한에서 바닷가양식이 수차 추진되었습니다. 작년 7월 김정은 총비서는 신포에서 열린 지방경제발전관련협의회에서 바다를 낀 곳에서는 바다, 산을 낀 곳에서는 산을 이용하는 식으로 각 지방의 자원과 잠재력을 적극 개발할 것을 강조하면서 바닷가양식이 다시 시작됐습니다.

서울에서 RFA 자유아시아방송 안창규입니다.

에디터 양성원, 웹편집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