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HA “북, 인도지원 평가국서 제외···지원은 계속”

0:00 / 0:00

앵커: 유엔이 발표한 내년도 인도주의 지원 평가 대상국에서 북한이 이례적으로 제외됐습니다. 어떤 이유인지 김소영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국제사회의 인도적 위기 상황에서 유엔의 원조를 조율하는 역할을 하는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OCHA)이 1일 발표한 '2021년도 세계 인도주의지원 보고서(GMO, Global Humanitarian Overview 2021)'에 예년과 다르게 북한이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유엔은 매년 이 보고서를 통해 북한 등 인도주의 위기국가들에 대한 새해 인도주의 지원 활동계획을 공개해 왔습니다.

2019년 발표된 보고서는 올해 북한의 식량 및 영양, 식수 문제 개선 등을 위해 1억 7백만 달러가 필요하다고 평가한 바 있습니다.

유엔 인도주의업무조정국 대변인실은 북한이 2021년 평가 대상국에서 제외된 데 대한 1일 자유아시아방송(RFA) 문의에 코로나 19로 현장 조사가 불가능했기 때문이라고 답했습니다.

스위스 제네바의 옌스 라에르케(Jens Laerke) 대변인은 "코로나19 관련 이동 금지로 북한의 인도적 상황에 대한 현장 평가와 감시, 새로운 정보 검증이 불가능했다"며 "이러한 이유로 북한 주재 유엔 지원팀과 국가 인도주의팀은 2021년 보고서에 북한의 인도주의 필요 분석과 전망을 포함하지 않기로 합의했다"고 말했습니다. (We were unable to conduct field assessments and monitor the humanitarian situation in DPRK because of COVID-19-related movement restrictions and to access to new verifiable data. Based on those reasons, the UN Resident Coordinator a.i., in agreement with the Humanitarian Country Team, agreed that DPRK's needs analysis and the projection of humanitarian situation for 2021 will not be included in the GHO at this time.)

그는 그러나 유엔은 기존 지침에 따라 2021년 대북 인도주의 지원활동을 이어갈 것이라며, 입국이 가능해지는대로 유엔의 해외 직원들이 북한으로 다시 돌아갈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Despite the challenges, the UN remains operational in the DPRK. The UN continues planning for humanitarian operations in the DPRK for 2021, in line with the global guidelines and in the anticipated return of the UN international staff to the DPRK, following the lifting of movement restrictions.)

북한이 코로나 19 확산을 막기 위해 지난 1월 말부터 국경을 원천 봉쇄한 이후 유엔 상주 직원들이 대부분 임시 귀국하면서 북한 내 유엔의 지원활동과 현장조사에 큰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지난 8월 유니세프(UNICEF·유엔아동기금) 등에 따르면 평양에 상주하는 유엔 직원 수가 종전의 4분의 1 수준으로 급감해 사실상 정상 업무가 불가능한 상황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고, 코로나 감염자가 전무하다고 주장하는 북한도 최근 국경 봉쇄를 더욱 강화하는 상황에서 북한 주재 유엔 직원들의 업무 복귀 시점은 불투명합니다.

그 동안 북한 지원 및 인권 전문가들은 북한 내 투명한 상황 평가와 감시 부족이 국제기구의 원활한 지원활동을 방해한다고 지적해 왔습니다.

대니얼 워츠 전미북한위원회(NCNK) 국장은 1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특히 올해는 북한 내 유엔 상주 직원들 조차 코로나 19로 지원활동 현장 방문이 크게 제한돼 북한에서 진행 중인 사업들이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워츠 국장: 평양 주재 유엔 직원들은 다른 지역의 사업 현장을 방문하는 데 제한을 받았고, 해외에서 북한으로 새로운 유엔 직원 파견도 불가능했습니다. 이는 아동 영양 사업과 같은 장기 지원활동들이 잠정 중단됐음을 의미합니다.

올해 코로나19와 태풍 등으로 향후 북한 경제상황과 식량 사정이 더욱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내년 유엔 기구의 인도주의 지원 계획 수립에도 차질을 빚으면서 북한 주민들의 생활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한편 유엔인도주의업무조정국은 2021년 56개 국가에 대한 사업을 중심으로 총 350억 달러의 자금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