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전력난 해소 위해 중소형발전소 건설 강요

0:00 / 0:00

앵커 :극심한 전력난에 시달리고 있는 북한이 최근 각 지역에 중소형 수력발전소 건설을 독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주민들은 당국이 이미 실패로 끝난 정책을 되풀이한다며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이 밝혔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안창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 청진시의 한 기업소 간부 소식통은 24일 “최근 당국이 부족한 전력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발전과 자력갱생 운운하며 중소형(수력)발전소 건설을 독촉하고 있다”면서 “다시 시작된 중소형발전소 건설 강요에 관련 일꾼(간부)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도당국이 회의 때마다 도내 각 지역과 도급 기관, 연합기업소 등 규모가 큰 기관들에 중소형발전소 건설 계획안을 제출할 것을 강요하고 있다”며 “동시에 중소형발전소 건설에 착수하는 지역과 기관들에 중장비와 시멘트, 철근 등 필요한 건설자재를 최대한 보장해 주겠다며 감언이설을 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하지만 간부들은 막상 건설이 시작되면 인력과 자재 등 거의 모든 것을 자체로 해결해 발전소를 지어야 한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며 “기업소 운영도 숨가쁜 상황이라 아직까지 청진에서 중소형발전소를 건설하겠다고 나선 기관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고난의 행군’ 이후 김정일의 지시로 전국적인 중소형발전소 건설 바람이 불어 곳곳에 자력갱생식 중소형발전소가 많이 건설되었다”며 “하지만 하천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아 물이 말라버린 곳이 많고 장마철 홍수에 언제(제방)가 떠내려간 곳도 있는가 하면 발전설비 노후와 고장으로 발전을 전혀 못하고 폐허가 되어버린 곳이 태반이다”라고 주장했습니다.

소식통은 “청진시의 경우 김책제철연합기업소를 비롯해 여러 기관과 기업들이 중소형발전소를 건설했으나 현재 한곳을 제외하고는 지금까지 전력을 생산하고 있는 발전소는 없다”며 “김정일 시기 집중적으로 진행한 중소형발전소 건설 정책의 실패가 현실로 증명되었음에도 당국이 자력갱생을 통한 ‘정면돌파전’을 내세우면서 실효성이 없는 정책을 반복추진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함경남도 단천시의 한 주민 소식통도 24일 “최근 노동당이 한동안 즘즘(잠잠)했던 중소형발전소 건설 정책을 다시 외치고 있어 간부들은 물론 주민들도 불안해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지금의 어려운 시국에 자력갱생의 정신을 발휘해 자체로 중소형발전소를 건설하라는 당국의 지시를 모두 다 못마땅해 한다”며 “간부들은 모든 것을 자체로 해결해야 하는 자력갱생이라는 말을 두려워하고 주민들은 매일 같이 발전소 건설에 노력 동원나갈 것을 걱정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지금도 쩍하면 단천 주민들은 2017년에 시작된 단천발전소 건설장에 노력(인력) 지원을 나간다”며 “앞으로 중소형발전소 건설이 시작되면 또 지원금을 내야 하고 자갈, 막돌, 시멘트 같은 건설자재를 바쳐야 하는 등 결국 죽어나는 것은 힘없는 일반 주민들이다”라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최근 함경남도에 금야강발전소, 함흥청년발전소 등 여러 중형발전소가 건설되었지만 전기를 제대로 생산하는 발전소가 거의 없어 그 덕을 전혀 보지 못하고 있다”면서 “물이 흐르는 곳마다에 중소형발전소를 건설해 자체로 전력문제를 해결하라는 김정일의 한마디로 지난 수십 년간 숱한 주민들이 고생을 했는데 이제 와서 김정은이 똑 같은 정책을 내미는 바람에 주민들만 생고생을 하게 되었다”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소식통은 국가차원에서 건설하는 수력 발전소의 발전용량이 10만 kw 이상이라면서 북한에서 중소형발전소는 대개 5만 kw 미만의 발전소를 일컫는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자 안창규,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