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김정은 집권 후 10년간 북한 당국이 발전소 건설 사업에 대해 집중적으로 홍보하며 이를 중점적으로 추진했다는 분석이 한국 내에서 제기됐습니다.
서울에서 이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14일 한국의 통일연구원이 주최한 ‘2022 북한도시포럼’.
권주현 통일연구원 연구원은 이날 행사에서 노동신문 보도 등을 바탕으로 김정은 집권 10년간 건설 사업 추진 동향을 관찰한 결과 발전소 건설이 중점적으로 추진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지난 2012년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노동신문 보도에서 언급된 건설 사업 총 3천502건 중 발전소 등 기반시설 건설 사업은 674건으로 분야별 가장 큰 비중인 19%를 차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중복 언급을 제외할 경우 기반시설 건설 사업의 비중은 전체 건설사업 관련 보도의 11%로 줄었습니다. 권주현 연구원은 이에 대해 많은 자원이 필요한 기반시설 건설의 특성 상 자원 동원을 독려하기 위해 관련 기사가 많이 보도됐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권주현 통일연구원 연구원 : 인프라(기반시설) 같은 경우 자원 동원이 굉장히 많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동원을 위한 격려, 독려, 촉구 차원에서의 기사가 굉장히 많이 보도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역별로는 평양 소재 건설 사업이 전체 건설사업 관련 보도의 21%를 차지해 가장 많았습니다.
김정은 집권 10년 간 새로운 종류의 건설 사업이 대부분 평양에서 시작한 후 전국으로 확산하는 경향도 관찰됐습니다.
권주현 통일연구원 연구원 :육아원, 양로원, 양생원 이런 것들이 다 평양에서 처음 완공됐고 그 이후에 전국적으로 한 2-3년에 걸쳐서 확산되는 양상이 관찰됐습니다.
김혁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행사에서 이는 평양 내 건설사업을 통해 주민들에게 가시적인 성과를 보여주고 미래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려는 당국의 의도를 반영한다고 분석했습니다.
김혁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선임연구원 : 김정은 체제의 건설 동향의 핵심은 결국엔 평양 선경도시라고 하는 것에서 출발했고 이를 통해 가시적인 성과를 이루어내는데… 정치적인 측면에서 건설을 통해 (주민들에게) 미래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는 모습입니다.
또 북한이 최근 들어 지방 건설을 장려하고 있지만 위성 사진 상으로는 지방급 개발구 19개 대상 지역 중 무봉국제관광구 외에는 개발 움직임이 미미하다고 평가했습니다.
이에 더해 원산, 함흥 등 지방 공업이 발달한 지역보다는 청진, 평성, 강계 등 시장화가 확산된 지역에서 지방건설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습니다.
김혁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선임연구원 : 이제 시장에서 재원이 많이 확보가 됐고 시장을 통해서 돈주들이 많이 형성이 되면 이 돈주들이 투자하는 곳이 아파트입니다. 그래서 부동산업이 굉장히 활발해지거든요. 그럼 도시 변화가 많이 일어납니다.
북한 내 시장에서 형성된 자본이 도시화와 도시 건설의 동력이 되고 있다는 분석입니다.
기자 이정은,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