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이 노후화된 철도를 현대화 하는 사업에 국가적인 투자를 집중해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그러나 철도현대화사업은 단기간에 이루기 어려울 뿐 아니라 기술과 자재부족으로 철도 정상화의 길은 요원하다고 현지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이명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함경북도의 한 간부소식통은 7일 ”중앙에서 철도운수부문에서 개건현대화사업을 다그쳐 철도를 통한 수송능력을 높이고 물자수송을 정상화 할 데 대해 지시하였다”면서 ”철도에 대한 국가적 관심과 투자를 집중한다는 사업계획을 발표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철도성과 해당 기관들은 철도부문에도 군대와 같은 강한 규율과 질서를 세워 수송 조직과 지휘를 짜고 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면서 ”철도현대화를 토대로 매일 6만톤이상의 화물수송 능력을 무조건 수행하여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철도현대화사업을 통해 김종태전기기관차연합기업소와 원산철도차량연합기업소를 비롯한 전국 철도부문 관련 기업소들을 빠른 시일 내에 정상화시켜 1년에 전기기관차 견인기 100대와 3000량의 화차생산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추진한다는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평양을 비롯한 주요역들에서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아 노후화된 열차취급선(로)들을 복구하고 노후 차량의 교체도 실현한다는 계획도 내놓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양강도의 또다른 간부소식통은 ”평안남도 양덕군 온천관광지구에 연결되는 철길공사를 하루 빨리 끝내 관광객들의 교통불편을 해소할 대한 지시도 있었다”면서 이와 함께 금강산 청년선 철길 보수를 비롯한 불량 철길 간에 대한 시설 점검과 보수를 빨리 끝내도록 독촉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중앙에서는 요즘 철도 부문에서 여러 가지 정상화사업을 한꺼번에 내놓고 매일 같이 철도부문 일꾼들을 다그치고 있지만 실무자들은 어찌할 바를 모른채 난감한 표정을 짓고 있다”면서 “지금과 같은 국가의 지원과 기술력으로는 중앙에서 요구하는 철길 현대화사업을 수행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외부(외국) 지원 없이 철길을 정상화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