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에서 부동산이 암암리에 거래되며 시장 규모가 확대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경하 기자가 보도합니다.
평양과 남포, 개성, 청진, 신의주, 나선 등 도시의 부동산 시장이 빠르게 형성되고 있다고 최근 한국 코트라가 밝혔습니다.
코트라 상하이 무역관이 중국의 외국 부동산 중개 전문 웹사이트 유루(www.uoolu.com)를 토대로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에서 부동산 매입은 불법이지만 점차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북한에서는 이론상 정부가 모든 부동산 소유권을 가지지만 부동산 구입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주민들이 정부의 주택 분배를 기다리지 않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평양에서 부동산 거래는 주로 달러로 이뤄지며 중국 접경지역은 중국 인민폐로 거래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평양 중심의 아파트는 ㎡당 5천~8천 위안, 즉 미화 약 750~1천200달러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한국의 경우 서울의 아파트는 ㎡당 평균 미화 약 3천달러로 북한보다 3배이상 비쌉니다.
평양 외 다른 도시 가운데 신의주는 중국 국경과 맞닿아 있어 경제적으로 발달한 지역이며, 그 영향으로 주택 매매가격이 ㎡당 5천 위안으로 높은 편으로 단둥 지역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했습니다.
개성은 평양 다음가는 큰 도시이자 선전 경제특구와도 비슷한 성격의 경제 특급시로, 주택 공급이 많아 ㎡당 2천300~4천 위안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됐습니다.
특히 보고서는 중국과 북한의 부동산 시장이 모두 발전 탄력을 받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그이 이유로 단둥은 신의주와 마주보고 있는 대북무역의 최대 접점도시로 두 도시는 상호의존도가 상당히 높다는 이유를 들었습니다.
또 다른 이유로는 최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방중과 북한 내부 변화 등 한반도 정세 안정화 신호에 따라 단둥의 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아울러 보고서는 지난 5월 1일 중국의 연휴 기간 동안 단둥에 부동산 매입을 위해 방문한 손님 중 1/3은 외지에서 왔으며,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단둥 부동산 등기센터는 예약제를 실행해야 할 정도로 관심이 몰리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 랴오닝성 사회과학원 량치둥 부원장은 단기적으로는 비이성적인 현상이 나타날 수 있겠으나, 장기적으로는 한반도 사태 추이에 따라 단둥지역 부동산 시장이 정상화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3일 미국 방송사인 TBN과의 인터뷰에서 “부동산 개발 업자의 시선에서 북한의 해변은 관광 리조트 건설 투자를 위해 매우 훌륭한 지역”라고 발언하는 등 이러한 분위기를 고조시키고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 부동산 측면에서 봐도 북한은 믿기 어려울 만큼 큰 잠재력이 있습니다. (해변에 콘도도 지을 수 있겠군요?) 그럼요, 당연히 그럴 수 있을 거라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