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의 한 복지단체가 유엔의 대북제재 면제 연장 승인을 받았습니다. 북한의 국경폐쇄조치가 장기화되면서 대북지원사업에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보도에 홍알벗 기자입니다.
미국의 보건의료 관련 비정부기구인 '샘 복지재단'이 유엔으로부터 대북 의료장비 지원 사업의 대북제재 면제승인을 1년 재연장 받았습니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는 14일 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샘 복지재단에 보낸 서한에서 대북 지원에 대한 제재 면제 기한을 내년 8월 10일까지로 1년 더 연장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단체가 신청한 면제 대상 물품은 평양 제3 인민병원에서 사용할 엑스레이 및 수술장비와 증기멸균기, 태아 모니터, 인큐베이터, 그리고 환자복을 포함한25만 달러 상당의 의료용품과 의약품, 식료품 등입니다.
이 단체는 지난해 2월 이들 물품의 대북 반입에 대한 제재 면제 승인을 받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즉 비루스 감염증에 따른 북한의 국경 봉쇄로 지난해 8월까지 물품을 북한에 보내지 못해 면제 기한을 올해 8월까지로 연장받았지만, 북한 국경 봉쇄가 이어짐에 따라 또다시 재연장을 신청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유엔 대북제재위원회는 당초 면제승인을 받았던 많은 단체 및 기관의 면제 기한을 연장시켜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6일 현재 유엔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원회 면제승인 대상 기관 및 단체는 모두 19곳.
이 가운데 미국의 대북구호단체인 '조선의 그리스도인 벗들'(CFK)과 세계아동기금(UNICEF), 이태리 정부, 한국 경기도 등 12곳은 내년까지 면제를 받았지만, 나머지 7곳은 올해 안으로 면제 기한이 종료됩니다.
대북제재위로부터 단체나 기관이 면제승인을 받는 기간은 주로 6개월에서 길게는 1년 정도인데, 북한이 국경폐쇄조치가 1년을 훌쩍 넘기면서 대북지원사업이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북한이 국경을 재개방하지 않을 경우, 연장 승인을 받지 못한 단체나 기관은 제대로 활동도 하지 못한 채 계획했던 대북지원사업을 접어야만 합니다.
2020년 7월 대북제재위로부터 면제 승인을 받았던 한국의 남북경제협력연구소는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전자우편을 통해, 식수개선사업을 위한 물품지원을 계획했지만 "일부 물품만 면제를 받은 후 북한에 지원이 들어갔으며, 들어가지 못한 물품에 대해 제재 면재 연장 신청에 들어갔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국제사회의 제재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으로 가뜩이나 어려운 북한에 최근 폭우로 인한 피해까지 발생했지만, 굳게 닫힌 국경 때문에 지원물자 반입이 차단되면서 북한 주민들의 고통만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기자 홍알벗, 에디터 이상민, 웹팀 김상일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