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부, ‘대북 담배수출 북한인’ 제보에 500만 달러 포상금

북한에 10여년간 담배를 판매한 혐의로 기소된 북한 은행가 심현섭.
북한에 10여년간 담배를 판매한 혐의로 기소된 북한 은행가 심현섭. (/국무부 웹사이트)

앵커 : 미국 국무부가 대북 담배 수출에 관여한 북한인과 중국인 2명에 대해 포상금을 걸었습니다. 특히 이 북한인에 대해 제보하는 경우 최대 500만 달러를 지급할 예정입니다. 지정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국무부는 25일 북한에 10여년간 담배를 판매한 혐의로 기소된 북한 은행가 심현섭과, 중국인 조력자 친궈밍과 한린린 등 3명에 대해 제보할 경우 포상금을 지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국무부의 매튜 밀러 대변인은 이날 보도자료에서 심현섭의 체포나 유죄 판결로 이어질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면 최대 미화 5백만 달러를 제공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조력자인 친궈밍과 한린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면 최대 50만 달러를 각각 지급할 예정입니다.

국무부 홈페이지에 게시된 포상금 광고에 따르면, 심현섭은 1983년생으로 심 알리(Sim Ali), 심 하짐(Sim Hajim) 등의 가명을 사용했습니다.

심현섭과 친궈밍, 한린린은 돈세탁과 은행 사기, 국제긴급경제권한법(IEEPA) 위반으로 기소됐으며 지난 3월 구속영장이 발부됐습니다.

앞서 미국 법무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이 3명의 인물이 2009년부터 2019년까지 북한 국영 담배 제조회사를 위해 잎담배를 구입하는 데 관여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들은 또 위장 회사와 허위 서류를 이용해 미국 금융기관이 최소 310건의 거래, 즉 미화 약 7천400만 달러 상당의 거래를 처리하도록 만든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법무부는 북한 담배 제조회사들이 이를 통해 약 7억 달러 상당의 이익을 창출했다며“제조회사 중 한 곳은 북한군의 소유”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위조 담배를 포함한 담배 밀매는 북한의 핵무기 등 대량살상무기(WMD)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막대한 수익금을 창출한다”며 밀수한 담배 제품은 비용 1달러당 최대 20달러 수익을 올리는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사건은 제재를 회피하고 불법 밀매에 관여하기 위해 미국의 금융 체계를 이용하려는 북한의 지속적인 노력 등 국가 차원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법무부의 광범위한 전략의 일환”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날 정 박 국무부 동아태부차관보 겸 대북특별부대표는 법무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참석해, 포상금을 지급하는 국무부의 초국가적 조직범죄 보상 프로그램은 매우 효과적인 도구라며“포상금이 제시되는 즉시 조치를 취할 수 있는(actionable) 제보를 받는 경우가 자주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이번 조치는 북한의 불법 활동을 해결하려는 국무부의 의지를 보여준다고 평가했습니다.

박 부차관보 : 불법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에 계속 자금을 조달하고 이를 개발하려는 북한의 역량을 막기 위해, 미국은 계속해서 모든 가용한 도구를 사용할 것입니다. (이러한 북한의 무기 프로그램은) 역내 및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위협합니다. (The United States will continue to use all available tools to impede the DPRK's ability to continue funding and developing its unlawful WMD and ballistic missile programs which threaten regional and international peace and security.)

법무부는 앞서 24일에도 보도자료를 통해 심현섭 등 4명의 인물을 홍콩 소재 위장회사를 이용해 북한을 위한 물품을 구입한 혐의로 기소했다고 밝혔습니다.

법무부는 또 심현섭에 대해 별도의 기소가 이뤄졌다며, 여러 북한 정보기술(IT) 노동자들이 신분을 위장해 미국 암호화폐 회사에 취업해 수익을 얻었는데 심현섭이 이 불법 수익을 세탁해준 혐의가 적용됐다고 말했습니다.

미국과 한국 정부는 이날 심현섭을 동시에 제재 대상으로 지정하기도 했습니다.

기자 지정은, 에디터 박정우,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