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최근 공개된 유엔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 전문가단 보고서에서 선박 간 환적 방식으로 북한의 불법유류 조달에 관여한 것으로 지목된 한 국제 무역업체는 성명을 내고 관련 혐의를 전면 부인했습니다. 하지만 제재위 전문가단 측은 해당 기업의 제재 위반 사실이 명백하다며 이를 입증할 증거자료도 충분하다고 반박했습니다. 보도에 한덕인 기자입니다.
지난 4일 공개된 제재위 보고서는 북한과 연루된 유류조달 밀무역은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중국계 무역업체 '윈슨그룹(Winson Group)'이 중심이 돼 이뤄지고 있다고 지목했습니다.
제재위 전문가단은 이 보고서에서 "윈슨그룹은 북한의 불법 연료조달 활동의 핵심 교점(key node)"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제제위는 윈슨그룹이 선박 간 환적 방식으로 북한에 유류를 공급해 왔는지에 대해 실제 조사했다며 그 과정에서 입수한 증거자료들은 윈슨그룹이이 대북제재 결의를 위반한 점을 명백하게 보여준다고 강조했습니다.
앞서 지난 3월 미국 워싱턴의 안보연구기관인 'C4ADS'와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가 공동 발간한 '검은 금: 북한의 기름확보연결망(Black Gold)' 보고서에서도 윈슨그룹이 동아시아 곳곳에 있는 지사 및 그와 연결된 해당 지역의 석유거래업체를 이용해 주로 선박 대 선박 방식으로 북한에 유류를 공급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바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윈슨그룹은 지난 5일, 유엔 전문가단 보고서가 밝힌 대북제재 위반 혐의를 전면 부인하는 내용의 성명을 냈습니다.
윈슨그룹은 해당 성명에서 "앞서 전문가단 측이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 혐의에 대한 조사의 일환으로 요구한 방대한 양의 정보와 문서를 요청헀고, 윈슨은 무혐의를 입증하기 위해 최대한 협력했다"고 밝혔습니다.
나아가 이번 보고서에서 지적한 윈슨과 관련한 상당수의 제재 위반 혐의에 대한주장은 앞서 전문가단이 매우 상세하게 제기한 일련의 질문들과 무관한 사안이며, 따라서 윈슨은 사전에 유엔 측과 논의된 바 없는 관련 혐의에 대한 무고를 입증할 기회를 얻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전문가단은 윈슨의 제재 위반 혐의에 대한 "실질적인 연결고리"를 이끌어내기 위해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소셜 미디어 게시물 등을 사용했다는 사실은 조사 방법론과 진정성, 그리고 동기에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며 이는 윈슨 측이 명예훼손 사례로 간주하는 내용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해당 성명과 관련해 제재위의 한 관계자는 6일 자유아시아방송(RFA)과의 전화통화에서 윈슨그룹이 북한의 대북제재 회피에 연루됐다는 점은 명백하다고 반박했습니다.
익명을 요구한 이 관계자는 보고서에서 특정 개인 또는 단체가 부정확한 사실을 바탕으로 제재를 위반한 것으로 잘못 지목될 경우 그들의 개인적인 삶과 사업의 미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전문가단은 충분히 인지하고 있고, 이 때문에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수차례 교차확인 절차를 반드시 거치는 등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관계자는 따라서 윈슨그룹 측이 문제를 제기한 전문가단의 조사 방법론에 대한 주장은 현실과 다르고, 전문가단은 보고서에 명시된 사안들 외에도 윈슨그룹의 제재 위반 혐의를 입증할 많은 양의 증거자료를 가지고 있다며, 이같은 내용은 후속 보고서에 반영될 수 있을 걸로 본다고 말했습니다.
또 앞서 전문가단은 보고서가 공개되기에 앞서 특정 기일까지 조사 내용에 대한 의문 사항이나 해명할 기회가 윈슨그룹 측에 있다는 점을 전달했지만 연락을 받지 못했고, 현재는 해당 기업과 전문가단 사이 소통이 끊긴 상태라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윈슨그룹은 유엔 전문가단 보고서에 대한 반박 성명을 낸 데 이어 원하는 유엔 측의 후속 조치가 따로 있는지를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6일 오후까지 답변하지 않았습니다.
기자 한덕인,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