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과 과학 분야에서 연구 협력을 지속해 온 독일 연구기관이 잘못을 인정하며, 이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독일 연방정부의 지원을 받는 '막스 보론 연구소'(Max Born Institute for Nonlinear Optics and Short Pulse Spectroscopy, MBI)는 그간 북한 과학자들과 공동 연구를 한 것이 북한과 과학·기술 분야 교류를 금지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2321호) 위반일 수 있다는 최근 보도와 관련해 지난달 30일 성명을 통해 공식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독일 국영방송 ‘도이체 벨레’(Deutsche Welle, DW)는 지난달 28일 해당 연구기관이 유엔 결의 2321호가 채택된 2016년 이후로도 김일성종합대학 소속으로 레이저 광학 전문인 임성진 교수 등 북한 과학자들과 여러 차례 연구 협력을 지속했다며, 제재 위반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연구소는 이와 관련된 지난달 29일 자유아시아방송(RFA)의 보도도 확인했다며, 성명으로 논평 요청에 대한 답변을 대신한다고 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성명은 연구소가 민간 목적으로 국제적 협력 네트워크(연결망) 속에서 빛과 물질의 상호 작용에 대한 기초 연구 및 레이저를 이용한 초고속 비선형 분광법 등을 연구하고 있다고 소개했습니다.
성명은 “MBI 과학자 중 한 명이 2016년 11월 유엔 대북제재 결의 채택 이후에도 북한 과학자들과 과학적 협력을 지속했다”고 인정하며 “MBI는 이러한 잘못된 행동에 대한 책임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The MBI takes responsibility for this incorrect behaviour.)
이어 “해당 협력 연구 주제는 광학으로 분리한 플라스몬이라고 하는 특수 물질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이론이며, 연구는 전적으로 전자우편을 기반으로 수행됐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연구를 통한) 이론적 결과가 과학적으로 실험되거나 기술적으로 적용되지 않았다”면서 “우리의 견해로는 이론의 이중 사용(군사적 목적) 가능성이 없는 것으로 파악한다”고 해명했습니다.
성명은 “MBI는 군사 관련 연구에 참여하지 않으며 군사 목표를 추구하는 연구 기관과 협력하지 않는다”고 강조하며 “MBI 연구 활동과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 사이 연관성을 제기한 데 대해선 강력히 부정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연구소는 또 “MBI는 이번 협력이 기관 차원의 협력이 아니라 MBI 과학자의 개인적 협력이었다”고 지적하며 “2019년 9월 MBI는 북한 연구원들과의 연구 협력 중단을 지시했고, 이 시점 이후로 북한 과학자들과의 추가 협력은 없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MBI는 2019년 기술 이전과 과학적 결과의 수출을 담당하는 연방 경제·수출 통제국(BAFA)으로부터 주의사항을 전달받은 이후 내부 규정을 조정했다”고 덧붙였습니다.
기자 김소영 에디터 양성원,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