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 당국, 강도 높은 국경밀수단속에 나서

0:00 / 0:00

앵커 : 중국당국이 북-중 간 밀무역 단속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금까지 묵인해오던 것과 달리 중국측 밀수 브로커들과 북한의 밀수 종사자들을 현장에서 적발해 체포하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김준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중국 단둥의 한 밀무역 관련 소식통은 2일 “중국 해관당국이 그동안 묵인해주던 관행을 깨고 중국과 북한 측의 밀수 조직에 대해 단속을 강화하고 연일 밀수꾼들을 체포하는 등 밀무역 차단에 나섰다”고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밀무역 단속은 해관의 주도하에 이뤄지고 있지만 밀수조직 색출과 밀수꾼을 체포, 연행하려면 공안당국의 협조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이번 밀수 단속은 해관과 공안의 합동작전으로 보아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중국 해관은 주로 밀수가 이뤄지는 현장을 덮쳐 밀수범들을 검거하고 있다”면서 “과거에도 밀수범에 대한 단속이 종종 있었지만 밀수 현장에서 적발되지 않는 한 증거부족으로 대부분 무죄 판결을 받아 석방되는 경우가 많아 밀수 현장을 덮쳐 단속하는데 힘을 쏟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과거 북조선의 4차 핵실험(2016년 1월)과 5차 핵실험(2016년 9월)이 연달아 진행되었을 때 중국당국이 북-중 국경의 밀수 단속을 강화해 다수의 밀수범들이 검거된 일이 있었다”면서 “하지만 당시 체포되었던 밀수범들은 대부분 풀려나 지금까지 밀무역에 종사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지난 주 수풍댐 상류 콴디엔(寬甸)현의 국경수비대 소속 간부 여럿이 밀수꾼들로부터 뇌물을 받고 밀수를 묵인해준 혐의로 다롄(大連) 해관경찰(해경)에 체포되었다”면서 “과거에는 이 같은 일을 알면서도 단속하지 않던 중국 당국이 이례적으로 밀수조직과 결탁한 국경경비대까지 손을 대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관련 중국 뚱강(東港)의 한 대북 소식통은 “한 달여 전 (3월말~4월초순)에 어선으로 가장하고 북조선 담배를 중국에 밀수입 하려던 밀수선이 전복되어 선원 6명이 실종되는 사건이 발생했다”면서 “실종자들은 모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아직까지 한 구의 시신도 찾아내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이런 일이 있고 난 후 중국 해관경찰(해경)이 대대적인 밀수 단속에 나섰다”면서 “해관 당국의 낌새를 알아챈 밀수범들이 밀수선을 어선으로 가장하고 해경의 단속을 피해 밀무역을 하고 있어 이들을 쫓는 해관경찰과 밀수범들 사이에 숨바꼭질이 이어지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이 때문에 뚱강의 모든 어선은 출항 전에 반드시 해경에 신고한 후 선박의 내부 상태 검열을 받은 후에야 출항할 수 있는 등 과거에 비해 까다로운 통제를 받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북-중 무역에 종사하고 있는 중국의 무역 업자들은 “중국 당국의 강무역(밀무역) 단속은 심심하면 되풀이 되는 연례행사이긴 하지만 이번처럼 조직적이고 엄중하게 단속하는 것은 처음 보았다”면서 “중-북 우호선린관계에 무슨 이상이 생긴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며 우려를 표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