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용품 무상공급'에 북 간부들 난색

0:00 / 0:00

앵커: 북한 당국이 학생들의 학용품을 무상 공급한다는 소식에 학부모들은 환영하는 반면 학용품생산에 관련된 간부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고 현지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북한 내부 소식 이명철 기자가 보도합니다.

평안북도의 신의주시의 한 주민소식통은 19일 “당중앙위원회 8기 4차전원회의에서 교육분야에 대한 중대 조치로 학령 전 대상(유치원)들과 소학교, 초급중학교, 고급중학교 학생들의 교복과 학용품을 앞으로는 국가가 전액 부담해서 공급한다는 내용이 최근 알려졌다”면서 “올해 새 학년도(4월)부터 실시하게 되어있어 학용품생산을 담당한 간부들속에서는 자재 보장을 비롯한 여러가지 어려움이 예상되어 걱정이 많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소식통은 “지난기간에는 교복은 시장에서 돈주고 구매해야 되고 학습장을 비롯한 학용품도 전부 자체로 해결하다 보니 학부모에게 많은 부담이 되었다”면서 “이번에 당중앙위 전원회의 결정에 따라 앞으로 학생들의 교복과 학용품을 국가가 무상공급하게 되어 학부모들은 환영하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학생들의 학용품을 국가가 무상공급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장마당의 학용품 매대들에 인적이 끊어졌다”면서 “4월 새학기 대목을 노리고 준비해오던 학용품 판매상들은 앞으로 생계를 잇기 힘들어 장사 업종을 바꿔야 한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신의주 채하동에 있는 한 학생가방 제조업자는 새 학년도를 앞두고 가방 원단을 다량으로 구입해 가방을 만들어 왔는데 학용품 무상공급 소식에 상당히 당황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북도 청진시의 한 교육관련 소식통은 같은 날 “교복과 학용품 무상공급소식에 학부모들은 반가워 하지만 교복이나 학용품 생산을 맡은 국영공장 간부들은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면서 “앞으로 도,시,군, 해당지역에서 학생수에 맞게 교복과 학용품을 생산해내야 하는데 원자재 보장 등 어려운 문제들이 예상되는데 당 전원회의 결정사항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경우 처벌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당국에서는 국가가 완전 보장한다고 하지만 실제 생산비용은 각 지역 공장들이 자체로 해결하라는 식으로 밀어붙일 수 있어 불안한 것”이라면서 “코로나사태 이후 중앙의 모든 정책의 초점이 ‘자력 갱생’에 맞춰져 있는 만큼 이번 조치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아무도 예상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기자 이명철, 에디터 오중석, 웹팀 김상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