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당국이 중국주재 무역대표들에 대해 선별적으로 소환령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지난 17일 소환령에 따라 귀국한 무역대표들은 지금 평양에 대기하면서 해임 철직 되지 않을까 불안해 하고 있다고 현지 소식통들은 전했습니다.
평양시의 한 소식통은 20일 “중국 단둥과 베이징 등에 주재하고 있는 일부 조선무역대표들이 평양으로 귀국하라는 소환령을 받고 지난 17일 귀국하였다”면서 “갑자기 선별적으로 내려진 소환령에 무역대표들은 무슨 일인지 몰라 상당히 불안해하고 있다”고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이번에 소환된 무역대표들은 대부분 장기간에 걸쳐 중국에 상주한 일꾼들이며 대북제재기간에도 국가외화벌이 계획 지표를 달성해 능력을 인정받은 사람들”이라면서 “그런데 갑자기 김정은의 4차 방중 이후 특별한 이유 없이 귀국 명령이 내려와 평양에서 대기하면서 상부의 조처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이어서 “지금까지 중국 무역대표 중에서 갑자기 소환지시를 받은 무역일꾼들은 평양 본사의 인원 배치 재조정으로 인해 완전히 귀국하는 경우도 있지만, 본사 간부들이 부탁하는 물품(과제)을 제때에 들여보내지 못해 감정이 뒤틀려 어이없이 소환되어 해임 철직되는 경우도 많다”면서 “평양 본사의 간부들이 무역 상주대표를 잡자고 마음먹으면 대표들을 끌어내리는 (해임철직 시키는) 것은 일도 아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특히 지금처럼 조-중무역에서 좋은 변화가 예견되는 시점에서는 동북3성으로 진출할 무역사업이권을 두고 권력기관끼리 세력다툼이 시작된다”면서 “이 런 경우 각 회사의 중국주재 무역대표들을 소환해 세력다툼의 희생양으로 삼은 사례가 많기 때문에 이번에 귀국한 무역대표들이 두려워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와 관련 평안북도의 또 다른 소식통은 “중국 주재 무역대표들 중 소환령을 받고 귀국했다가 다행히 무역사업으로 중국에 다시 나오는 경우를 보면 원래 상주하던 큰 도시가 아니라 작은 도시로 배치된다”면서 “당에 대한 충성자금은 물론이고 간부들에게 뇌물을 제때에 고인 무역일꾼들은 외화벌이 규모가 큰 베이징, 상해 등 대도시로 진출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결국 우리나라 무역일꾼들이 계속 살아남으려면 수출입 실적보다는 당에 아첨하고 순종하며 권력기관에 대처하는 처세술이 능해야 한다”면서 “이 같은 무역부문의 구조적 병폐는 날이 갈수록 깊어지고 있어 우리 무역의 앞날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